여사수지(女士須知)
이 책의 한글 표기에 나타나는 국어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으’를 ‘어’로 표기한 것이 많이 있다. ○거리지 말며(3b), 가러치고(11a), 모러ᄂᆞᆫ지라(25a), 안지며 누어며(24b)등. 둘째, ‘어’를 ‘으’로 표기한 것이 있다. 통달ᄒᆞ리 잇스도(9b), 집에 잇스ᄂᆞᆫ(11a), 급함이 잇스도(19a), 무럿(凡, 序 2a)등. 셋째, 방언형이 있다. 갓○고(序 2a), 게욱질ᄒᆞ며(5a), 씩기(5b), ○을이 말라(5a), 음식 먹이거시든(5a),엄첩기(輕, 9a)등. 넷째, 다음과 같은 혼기예도 있다. 질쇼그럭에(序 2a), ᄃᆡ그릇과(2a), 그륵을(8a)등. 이 책은 국립국어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 『영남문헌어(嶺南文獻語)의 음운사연구』(백두현, 태학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