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령 ()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유물
초기철기시대에 제작 · 사용된 청동으로 만든 무구(巫具).
이칭
이칭
청동방울
정의
초기철기시대에 제작 · 사용된 청동으로 만든 무구(巫具).
개설

방울이 달린 의기(儀器)로, 8개의 방울이 달린 팔주령(八珠鈴), 2개의 방울이 달린 쌍두령(雙頭鈴)과 가지 방울, 장대 위에 방울을 단 간두령(竿頭鈴)이라고 부르는 장대 투겁 방울 등이 있다. 끼우거나 달아매는 고리가 달려 있는데, 용도는 알 수 없으므로 주술 의기, 또는 제사 때 사용한 방울로 추정된다.

동령은 대체로 위의 3가지가 한 벌을 이루지만, 개별적으로 한국식 동검인 좁은놋단검〔細形銅劍〕과 함께 출토되기도 한다. 초기 철기시대 중기에 해당하는 서기전 3세기 중반에서 제작되기 시작하여 서기전 1세기 전반 경까지 유행하였다. 방울이 달린 것은 전기 유적인 아산 남성리 유적에서도 나오는데, 방울에 알맹이가 없어 제작 시기에는 차이가 있다.

내용

동령은 대체로 한반도 중부 이남에서 출토되었으며, 중국에서는 확인된 바 없는 한반도 특유의 청동기이다.

팔주령은 오목한 원판 주위에 8개 방울을 단 모습인데, 방울에는 세로로 4개의 투창(透窓)을 뚫기도 하였다. 원판 뒤에는 고리를 달았으며, 무늬가 양면에 있거나 한쪽에만 나 있다. 8개 방울은 일본 신화에 ‘8이라는 숫자가 풍요를 상징한다’고 하여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과 연계시키기도 한다. 남한 지역에서만 출토되었으며, 현재까지 7점이 전한다.

쌍두령은 가운데가 볼록한 가지 양끝에 방울이 달린 것, 땅콩 모양의 껍질 양쪽에 방울을 넣은 것, ‘X’자형으로 가지를 조합한 것, 닻 모양의 양끝에 방울을 단 것, 가지 끝에 방울 하나만 단 것 등 5종류가 있다. 모두 자루를 꿰거나 매달 수 있는 고리가 달려 있어서 나뭇가지에 꽂거나 끈에 매어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점이 확인되었는데, 평양 정백동 출토 쌍두령을 제외하면 대체로 금강·낙동강 하류에서 발견되었다.

간두령은 포탄 모양으로 생겼는데, 몸통 중간을 칸으로 막아서 윗부분에는 방울 알을 넣었고, 테두리에는 전을 붙였으며, 아래 부분은 막대에 꽂게 하였다. 방울 알이 들어 있는 공명(共鳴) 부분에는 세로로 창이 뚫려 있고, 테두리의 전에는 구멍이 있어 수술 같은 장식을 꿸 수도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것은 18점으로, 함주 조양리 출토품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한반도 중부 이남에서 집중 출토되었다.

의의와 평가

『삼국지(三國志)』위서 동이전 한조(韓條)에는 “국읍(國邑)에는 천군(天君)이라는 천신에 제사지내는 우두머리가 있고, 각 나라에는 별읍(別邑)이 있는데 소도(蘇塗)라고 한다. 그곳에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놓고 귀신을 섬긴다”라고 하였다. 동령은 삼한시대에 농경 의례를 수행했던 소도에 달았던 방울로, 풍요를 기원하였던 의례용 청동기였다.

참고문헌

『한국선사시대청동기』(국립중앙박물관, 1973)
『朝鮮古文化綜鑑』 1(梅原未治·藤田亮策, 養德社, 1947)
『한국의 청동기문화』(국립중앙박물관, 범우사, 1992)
「한국식동검문화의 연구」(이건무, 고려대 박사학위 논문, 2003)
집필자
이강승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