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연당 ()

목차
회화
인물
조선 후기에, 「관동팔경도 병풍」, 「산수도 병풍」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이칭
거연당(居然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자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작품
관동팔경도병풍|산수도병풍
관련 사건
관동팔경도병풍|산수도병풍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관동팔경도 병풍」, 「산수도 병풍」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내용

유작에 찍혀 있는 도인(圖印)을 통하여 거연당이라는 호만 밝혀져 있을 뿐, 그의 이름이나 생애 등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관동팔경 등의 실경산수(實景山水)를 주로 그렸다. 구도나 소나무의 묘사법 등에서 정선(鄭敾)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경물의 대담한 생략과 감필(減筆)의 빠른 붓질, 투명한 담채(淡彩)의 효과 등에서 다소 획일화된 느낌을 주기는 하지만, 그의 개성을 엿볼 수 있다. 그의 이러한 화풍은 18세기 후반 경 정선파 실경산수화의 변천과정을 파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유작으로는 「관동팔경도병풍」과 「산수도병풍」 등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 12 -산수화 하-(안휘준 감수, 중앙일보사, 1982)
『한국미술전집』 12 -회화-(최순우 편, 동화출판공사, 1973)
「조선시대 관동팔경도의 연구」(이보라,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6)
「조선후기의 진경산수화연구」(이태호, 『한국미술사논문집』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집필자
홍선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