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열형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반역 및 강상죄인의 목과 팔다리를 수레나 소와 말에 매달아 찢어 죽이는 형벌.
이칭
이칭
환형(轘刑), 환렬(轘裂)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시대
폐지 시기
1894년
시행처
조선왕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거열형은 죄인의 목과 팔, 다리를 다섯 대의 수레[五車]나 소와 말에 매달아 찢어 죽이는 사형 집행 방식이다. 환형(轘刑), 환렬(轘裂)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의 경우 중국의 『대명률』을 수용하여 능지처사형을 시행했지만, 집행 방식은 거열형으로 하였다. 모반 대역이나 강상의 죄를 지은 사람에게 거열형을 시행하였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반역 및 강상죄인의 목과 팔다리를 수레나 소와 말에 매달아 찢어 죽이는 형벌.
내용

거열형은 전근대의 사형 집행 방식 중 하나로, 중국의 경우 진시황(秦始皇)이 태후와 사통한 노애(嫪毐)를 잡아 거열형에 처한 것으로 보아 이미 고대에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좌전(左傳)』에 거열을 ‘환(轘)’이라고도 해, 환형(轘刑), 환렬(轘裂)이라고도 칭했다. 이후 수 · 당이 율령(律令) 제도를 실시해 오형(五刑) 제도를 채택함에 따라 이 형벌은 법전 상에서 없어졌으며, 송 · 명의 율에서도 제외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경문왕 14년에 반역을 꾀한 이찬(伊湌) 근종(近宗)을 거열형에 처한 것이 기록된 『삼국사기』를 통해 삼국시대부터 거열형이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고려사』 형법지에도 거열형의 실례가 보인다. 조선시대의 경우 중국의 『대명률』을 수용하여 능지처사형을 시행했지만, 집행 방식은 거열로 하였다. 1397년(태조 6) 반포한 『경제육전』 형전에 원악향리(元惡鄕吏)는 능지나 거열 같은 중형을 시행하고 그 시체를 토막내 돌린다는 의미의 전형회시(典刑回示)에 처한다고 규정되어 있는 것을 보면, 거열형은 이미 조선 초부터 법제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거열형은 대개 모반(謀反) 대역(大逆)이나 강상죄(綱常罪)를 지은 사람에게 시행하였다. 1398년(태조 7) 11월 이방번(李芳蕃)의 종 박두언(朴豆彦)이 난을 모의하다 잡혀 거열(車裂)되었으며, 1406년(태종 6) 12월에 문가학(文可學)을 비롯한 6인 또한 반역 죄인으로 거열했다. 1410년(태종 10) 4월에는 개국공신 조호(趙瑚)를 모반 대역죄로 거열하고 그 시체를 각 도에 보내 사람들에게 돌려보게 하였다. 또한 세조 때 성삼문, 이개, 하위지 등에게 능지처사의 형벌을 내렸지만, 실제로는 거열형에 처하고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게 하기 위해서 3일간 저잣거리에 효수를 하였다. 박팽년, 유성원 등은 죽었음에도 시신이 거열을 당하기도 하였다. 거열의 방식은 중국에서는 대개 죄인의 목과 팔, 다리를 다섯 대의 수레[五車]에 매달아 찢는 형태였으나, 조선에서는 수레뿐 아니라 소와 말을 동원하기도 했다. 군기시(軍器寺), 저잣거리, 혜민국 거리, 서소문 등이 거열형의 집행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거열형은 관리들과 일반 시민들이 볼 수 있게 공개적으로 집행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능지처사형이 폐지됨에 따라 거열형도 시행되지 않게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사(高麗史)』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단행본

서일교, 『조선 왕조 형사 제도(刑事制度)의 연구(硏究)』(한국법령편찬회, 1968)

논문

심재우, 「조선시대 능지처사형 집행의 실상과 그 특징」(『사회와 역사』 90, 한국사회사학회,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