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외선 ()

목차
불교
개념
선의 맥이 말과 문자로 된 경전의 이론이나 지식의 격식이 아니라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임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목차
정의
선의 맥이 말과 문자로 된 경전의 이론이나 지식의 격식이 아니라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임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인도에서는 계(戒)·정(定)·혜(慧) 3학(三學) 중의 하나인 정과 6바라밀(六波羅密) 중의 하나인 선정을 선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독창적인 조사선법(祖師禪法)을 주창하고, 선의 맥은 교의 밖에서 따로 전해져왔다고 주장하는 격외선의 이론을 전개시켰다. 즉, 말과 문자로 된 경전의 이론이나 지식의 범주를 초월하여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을 격외선이라고 한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시대의 무염(無染)이 ≪무설토론 無舌土論≫에서 최초로 이 선법을 주창하였다. “석가모니가 밝은 별을 보고 도를 깨친 뒤에 다시 설산에서 진귀조사(眞歸祖師)를 만나서 현극(玄極)한 뜻을 전해받았으니, 이것이 교외별전의 연원이다.”라고 한 것이나 석존의 삼처전심(三處傳心)을 말한 것 등이 모두 격외선에 관한 주장이다.

고려 중기의 지눌(知訥)도 “정혜쌍수(定慧雙修) 밖에 본분종사(本分宗師)의 별전 선지가 있다.”라고 하였고, 조선 중기의 휴정(休靜)도 ≪선교결 禪敎訣≫에서 격외선을 강조하였으며, 조선 후기의 백파(白坡)는 의리선(義理禪)에 상대되는 것으로 격외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무설토론(無舌土論)』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선교결(禪敎訣)』
집필자
이종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