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세정운 ()

목차
언어·문자
문헌
조선후기의 문신 · 학자 최석정이 훈민정음의 기원에 대하여 논술한 운서.
이칭
이칭
훈민정음도설, 경세훈민정음도설
목차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 · 학자 최석정이 훈민정음의 기원에 대하여 논술한 운서.
개설

2권. 필사본. ‘훈민정음도설’이라고도 한다. 책의 표지에는 ‘경세훈민정음도설’이라고 되어 있으나, 속표지에는 ‘경세정운서설’이라고 되어 있다.

일본의 경도대학(京都大學)가와이문고(河合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것을, 1960년대에 들어와 처음으로 국내학자들이 발견, 연세대학교에서 영인·간행한 바 있다.

내용

경세정운서설·운섭도(韻攝圖)·경세정운오찬(經世正韻五贊)·성음편·군서절충(群書折衷)의 장으로 나뉘어 있다. 이 가운데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둘째장의 운섭도이다.

운섭도는 가로로는 24자모를 배열하고 세로로는 등운(等韻)과 사성을 구별하고 있는데, 도식의 구조는 『절운지남(切韻指南)』과 같다. 각 도를 외전(外轉)과 내전(內轉)으로 구별하였는데, 외전은 저모음계열, 내전은 고모음계열로 되어 있다.

섭(攝)은 운미(韻尾)의 유형과 모음의 자질에 따라 구별되는데, 외전·내전이 각 8섭으로 도합 16섭으로 되어 있다. 개모(介母)는 [-w]의 개재여부에 따라 벽합(闢翕)으로 구별하는데, 벽은 개구음(開口音), 합은 합구음(合口音)을 뜻한다. 한 섭은 벽이 1도, 합이 1도, 각각 2도로 이루어져 있다.

최석정은 훈민정음의 기원을 열수상형(列宿象形)에 있다 하고, 초성의 17자는 오행의 차례(次例)를 바탕으로 한 것이며, 중성의 11자는 태극·음양·팔괘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 설의 근거는 최석정이 전개한 운섭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표 1] 초성의 체계

1 2 3 4 5 6
1. 淸
2. 濁
3. 淸
4. 濁

[표 2] 중성의 체계

1. 淸
2. 濁
3. 淸 · {{A0073}} $ $
4. 濁

최석정의 음운체계는 [표 1]·[표 2]와 같은 상관체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운섭도는 이러한 상관체계를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다. 이것은 4×6의 구조를 구상한 것이다.

이 구조는 소강절(邵康節)의 『황극경세성음창화도(皇極經世聲音唱和圖)』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는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것도 있으나, 최석정은 체계적으로 빈 칸을 허용하지 않는 엄격한 태도를 취했다.

참고문헌

「경세훈민정음도설(經世訓民正音圖說)」(김지용, 『연세대학교인문과학』19, 1968)
「경세정운고(經世正韻攷)」(유창균, 『청구대학논문집』5, 196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