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자 정조문(鄭詔文, 1918∼1989)은 경상북도 예천군 우망리(憂忘里)의 동래 정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구한국 정부의 관리였던 조부 정건모(鄭建模)는 도쿄에 파견되어 훈장 제조 기술을 익히고 돌아와 훈장 제조국에 근무하였다. 부친 정진국(鄭鎭國)은 가세가 기울자 아내와 아들 둘(둘째인 조문은 당시 6살이었다)을 데리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형사들이 끊임없이 찾아와 괴롭히는 바람에 식구들은 뿔뿔이 흩어지고 정조문은 부두 노동자가 되었다.
후에 교토에서 파친고(일본의 도박게임)점을 차리면서 돈이 모이자 정조문은 일본 권력자들에게 빼앗긴 조국의 문화유산을 되찾고자 결심하였다. 그는 유물을 수집하면서 1969년에는 조선문화사(朝鮮文化社)를 설립하고 『일본에 남은 조선문화』라는 계간지를 발행하였다. 이 잡지는 1981년 50호를 마지막으로 휴간되었지만 그 끼친 영향은 매우 컸다. 교토신문조차도 “여러 가지 이화감(異和感)을 지니고 태어난 이 잡지는 고대 조선에서 들어온 인간과 문화를 빼면 (일본에는) 아무 것도 남은 것이 없지 않은가 생각될 만큼 큰 영향을 끼쳤다. 편견에 차 있던 일본 고대사에 이처럼 충격을 준 잡지는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정조문은 1972년부터 재일 사학자들과 더불어 일본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한국 관계 유적을 돌아보는 탐방단을 조직, 큰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 문화의 일본 유입 사실을 일본인의 눈으로 확인시키려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된 이 모임에 5백여 명이나 몰려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은 마침내 1988년 10월 25일 고려미술관 설립으로 결실을 맺었다.
정조문이 자기 집터(대지 120평)에 세운 미술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철근 콘크리크 건물(건평 137평)이다. 소장 유물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계통적으로 모은 도자기류가 주류를 이룬다. 이들 가운데 백여 점은 매우 뛰어난 명품들이다. 이밖에 회화류 70여 점, 불상 및 금속 공예품 20여 점, 구리거울 20여 점이며, 목공예품과 민속품 50여 점 등은 희귀한 예술품이다. 그는 미술관을 세운 이듬해에 고려미술연구소를 따로 세워서 한국 문화 연구는 물론 이에 관한 강좌도 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