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상안 ()

태촌집
태촌집
고전시가
인물
조선 중기에, 함창현감, 풍기군수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함창에서 의병 대장으로 활약하다가 벼슬을 그만두고 전원생활을 하던 중에 「농가월령가」를 저술했다고 추정되는 문신.
이칭
사물(思勿)
태촌(泰村)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3년(명종 8)
사망 연도
1623년(인조 1)
본관
개성
주요 저서
태촌집(泰村集)
주요 작품
효빈잡기(効嬪雜記)
정의
조선 중기에, 함창현감, 풍기군수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함창에서 의병 대장으로 활약하다가 벼슬을 그만두고 전원생활을 하던 중에 「농가월령가」를 저술했다고 추정되는 문신.
개설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사물(思勿), 호는 태촌(泰村). 할아버지는 충순위증판결사 고극공(高克恭)이며, 아버지는 증 한성우윤 고천우(高天佑)다. 어머니는 신천 강씨(信川康氏) 습독 강희언(康希彦)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73년(선조 6) 진사가 되고, 1576년(선조 9)에 문과에 올라 함창현감 · 풍기군수 등을 지냈다. 40세 되던 해인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적이 침입하자, 향리인 상주 함창에서 의병 대장으로 추대되어 큰 공을 세웠다.

49세인 1601년(선조 34) 이후지례현감 · 함양군수를 지냈고, 이덕형(李德馨) · 이순신(李舜臣) 등과의 서사 기록(書事記錄)도 남긴 바 있다. 그 뒤 울산판관을 지낸 후, 벼슬을 그만두고 전원 생활을 하였다.

문집으로 1898년(고종 15)에 간행한 목판본 6권 3책이 전한다. 그 가운데 행장(行狀)에 보면 농사에 밝고 문장이 능하며, 농군을 가르치고 농사에 관한 저술을 남겼다고 한다. 그리하여 학계에서는 현전하는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를 그의 작품이라 추측하고 있다.

이는 문집인 『태촌집(泰村集)』에 「농가월령」이라는 기록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가 벼슬에서 물러난 이후 농경 생활을 했다는 내용이 문집의 행장에 기록되어있어, 「농가월령가」는 고상안과 관련이 깊으리라는 짐작에서 연유된 것이다.

그 밖에 그의 문집에는 총화(叢話) · 여화(餘話)에 해당되는 「효빈잡기(効嬪雜記)」를 비롯하여,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에게 올린 팔책(八策)과 유합(類合), 『해동운부군옥(海東韻府群玉)』에 대한 기록과 풍속 · 전설에 관한 기록 등이 전해지고 있어 일반 문집에 비해 이색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점을 종합하여 볼 때, 「농가월령가」의 나타난 계절 감각, 영농 내용 등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까닭에, 학계에서는 그가 「농가월령가」의 작자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문집으로 『태촌집』이 있다.

참고문헌

「농가월령가해제」(박성의, 『한국고전문학대계』7, 민중서관, 1974)
「농가월령고」(홍재휴, 『동양문화』6·7합병호, 영남대학교, 1968)
「태촌집독태촌집후」(방종현, 『한글』101, 194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심재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