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서관인서체자 ()

목차
관련 정보
낙전선생귀전록
낙전선생귀전록
출판
개념
조선 숙종 때 교서관에서 명체(明體)를 자본으로 하여 주조한 인서체 금속활자. 운각인서체자 · 당자(唐字).
이칭
이칭
운각인서체자
목차
정의
조선 숙종 때 교서관에서 명체(明體)를 자본으로 하여 주조한 인서체 금속활자. 운각인서체자 · 당자(唐字).
내용

이 활자의 명칭에 대해, 교서관에서는 이 활자 외에도 계미자(癸未字)·경자자(庚子字)·갑인자(甲寅字) 등이 주조되었으므로 ‘교서관’을 넣는 것에 문제가 있다는 견해도 있다.

또, 주조시기에 있어서도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1684년(숙종 10)에 인출된 ≪낙전선생귀전록 樂全先生歸田錄≫에 있는 김석주(金錫胄)가 쓴 서문에 “≪낙전당전집≫을 인출한 후, 다시 뒤에 저술한 시율(詩律)을 모아 인국(印局 : 교서관)에서 인출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김석주는 1684년 9월에 죽었으므로 이 책은 그 이전에 간행되었을 것이며, 또한 이 활자도 숙종 10년 이전에 주조, 보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속활자에 인서체가 도입된 것은 이것이 최초이다.

획이 좀 굵고, 재료가 주조하기 까다로운 철이기 때문에 모양도 정연하지 않은 편이다. 이를 ‘전기(제1)교서관인서체자’라고 한다. 경종 때에도 인서체 철활자가 주조되었는데, 자형이 편평하고 획이 가늘다. 이것을 ‘후기(제2)교서관인서체자’라고 한다.

한편, 이 활자와 함께 한글활자가 주조되었는데, 그 자체는 삼주갑인자(무오자)에 비하여 작으며, 자획은 직선이고, 필체는 수필체(手筆體)가 아닌 프린트식 인서체자로 되어 있다.

이를 활자로 찍어낸 책은 종류가 다양하며, 그 가운데서도 문집류가 많다. 그 인본으로는 ≪낙전선생귀전록≫을 비롯하여 ≪식암집 息庵集≫·≪문곡집 文谷集≫·≪약천집 藥泉集≫·≪삼연집 三淵集≫ 등이 있다.

참고문헌

『정조실록』
『현종실록』
『현종대왕개수실록』
『숙종실록』
『한국고인쇄기술사』(김두종, 탐구당, 1974)
「근세조선후기활자인본에 관한 종합적고찰」(김두종, 『대동문화연구』 4,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1967)
『朝鮮の板本』(前田恭永, 影印本, 寶蓮閣, 1968)
『한국고인쇄사』(천혜봉, 한국도서관학연구회, 1976)
『내사본판식·고문서투식연구』(심우준, 일지사, 1990)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심우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