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영각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삼사(三司)의 하나인 홍문관의 서고(書庫).
목차
정의
조선시대 삼사(三司)의 하나인 홍문관의 서고(書庫).
내용

홍문관은 궁중의 경서(經書) 및 사적(史籍)을 관리하고 문서를 처리하며, 또한 왕의 자문에 응하던 기관이었다.

홍문관에는 1456년(세조 2)에 없어진 집현전의 장서가 이관되었는데, 효종 때 내의원(內醫院) 서쪽에 2층건물의 장서각을 짓고 수장(收藏)하였다. 이 건물이 등영각이다.

장서는 집현전 장서각에 있었던 서적을 주축으로 하여 계강시에 부족해서 인출한 강서(講書), 서사관(書寫官)의 선사본(繕寫本), 화원(畫員)이 제작한 화첩(畫帖), 경외신간서(京外新刊書), 중국에서 구입해온 책 등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전화(戰禍)·화재 등으로 1906년(광무 10)에는 7, 780책에 불과하였다.

이들 장서에는 앞면에 ‘朝鮮國御藏書(조선국어장서)’, 뒷면에 ‘朝鮮國六代癸未歲御藏書大明天順七年(조선국육대계미세어장서대명천순칠년)’이라는 장서인과 매권 본문이 처음 시작되는 곳에 ‘弘文館(홍문관)’이라는 주인(朱印)이 찍혀졌다.

장서인 날인과 대출 제도 등은 직제학의 제청으로 실시되었고, 전반적인 관리는 부수찬이 감독하였다. 그 밑에 박사는 설경(說經), 저작(著作)은 사경(司經), 정자(正字)는 전경(典經)을 겸하여 장서를 관리하였다. 그리고 책색서리(冊色書吏)가 장서를 출납, 검장(檢藏)하였다.

등영각은 홍문관에서 고문(顧問)에 대비하고, 문한(文翰)을 처리하는 기능을 위해서 자료를 수집·정리·보관·이용하던 일종의 왕실도서관이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등영각고(登瀛閣考)」(심우준, 『서지학연구(書誌學硏究)』 창간호, 1986)
「홍문관고(弘文館考)」(박영준, 성균관대학교대학원, 1973)
「홍문관(弘文館)의 성립경위(成立經緯)」(최승희,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5, 1970)
집필자
심우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