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계집 ()

목차
관련 정보
정인휘의 구계집 중 표지
정인휘의 구계집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인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인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14년 그의 아들 순모(舜謨)가 편집, 간행하였다. 노상직(盧相稷)의 서문과 장석영(張錫英)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79수, 서(書) 4편, 잡저 1편, 기 1편, 발문 2편, 제문 3편, 권2는 부록으로 가장 1편, 행장 1편, 묘갈명 1편, 묘지명 1편, 제문 9편, 구계와기(龜溪窩記) 3편, 구계와시십(龜溪窩詩什) 71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가운데 「계고음(稽古吟)」 19수는 칠언절구로 도통(道統)의 연원을 이은 인물들을 순차로 열거, 그들의 공적과 덕업을 읊은 것이고, 「동국음(東國吟)」 12수는 우리나라 역사를 오언율시로 표현한 것으로, 이 두 작품은 그의 시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잡저의 「계자(戒子)」에서는 인간이 천품을 받고 태어날 때에는 누구나 원(元)·형(亨)·이(利)·정(貞) 사덕(四德)의 진성(眞性)과 오행(五行)인 금·목·수·화·토의 빼어난 기(氣)를 가지고 있지만, 훌륭하게 되고 되지 않는 것은 가르치고 가르치지 않는 데 달려 있다고 하면서, 치가(治家)하는 요점인 사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노홍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