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시 ()

산택재문집
산택재문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장악원주부, 회덕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형숙(亨叔)
산택재(山澤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35년(인조 13)
사망 연도
1719년(숙종 45)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장악원주부|회덕현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장악원주부, 회덕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형숙(亨叔), 호는 산택재(山澤齋). 아버지는 권창업(權昌業)이며,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로 충의위(忠義衛) 홍늑(洪勒)의 딸이다. 장흥효(張興孝)의 문인이었던 아버지 밑에서 공부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예학에 관한 선유(先儒)들의 훈해와 변례절문(變禮節文)을 모아 『가례전주통해(家禮傳註通解)』를 편찬하고, 의심스러운 바를 고증하는 등 연구를 깊이 하였다.

관직에 뜻이 없어 세거지인 진보현(眞寶縣)에 집을 지어 산택재(山澤齋)라 이름하고 은거하던 중, 1690년(숙종 16) 학행으로 천거되어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에 임명되었으며, 그 뒤 회덕현감(懷德縣監)이 되었다.

그 곳에서 5년 동안 지방수령으로 일하면서 예악(禮樂)을 정비하고, 흉년에 백성들을 구휼하며, 송사와 옥사를 공평무사하고 신속하게 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으며 청렴결백한 관리생활을 하였다.

또한, 학사(學舍) · 학전(學田)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여 이의 개선에 힘쓰고, 지방수령으로서 목민대책(牧民對策)에 필요한 항목을 모아 『거관요람(居官要覽)』이라는 책을 엮었다. 홍여하(洪汝河) · 이현일(李玄逸) 등과 학문적인 교유가 깊었다.

그는 남인에 속했던 사람으로, 1694년 갑술옥사 후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가 여생을 보냈다. 저서로 주1 4권이 있다.

참고문헌

『산택재문집(山澤齊文集)』
주석
주1

권태시 저술 : 『산택재문집(山澤齊文集)』(한국문집총간)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