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단연운동 ()

근대사
사건
일제강점기하 물산장려운동과 병행하여 전개된 민족경제 자립운동의 한 형태.
정의
일제강점기하 물산장려운동과 병행하여 전개된 민족경제 자립운동의 한 형태.
역사적 배경

1919년 3·1운동 직후 일제의 식민정책이 이른바 문화 통치라는 이름 아래 유화 국면으로 접어드는 틈을 이용하여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기 위한 움직임이 사회·문화·경제·교육의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리하여 경제계에서는 민족 산업의 육성과 경제 자립을 위한 대중운동으로 한말의 국채보상운동과 맥락을 같이하는 물산장려운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하기에 이르렀다.

금주단연운동은 이같은 물산장려운동의 한 형태로 일어났으나, 1923년부터는 거의 매일 금주회나 단연동맹회에 대한 보도가 나올 만큼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일어난 전민족적 운동이 되었다.

경과와 결과

즉, 1922∼1923년에는 단연회·단연동맹회·단연금주회·금주단연회·금주단연동맹·단연금주동맹·금주회·금단주연회 등 수많은 금주단연운동단체가 전국적으로 조직되어 활동하게 되었다.

이들 금주단연운동단체들은 전국 각지의 대도시와 소읍에까지 파급되어 조직되었으며 면사무소나 천도교 및 기독교와 같은 종교단체, 심지어 각종 회사나 당시의 철도 회사에까지 파급되었다.

금주단연운동단체의 활동은 먼저 회(會)를 결성하고 이들 회가 중심이 되어 솔선하여 금주단연을 실천하면서 전단배포·강연·시가행진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절약된 금액으로 생산 기관을 설립하고자 한 단체도 있었으며, 금주단연의 약속을 어기는 자는 벌금을 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초기에 민족적 자각에 호소하여 열렬한 호응을 얻었던 이 운동도 1920년대 후반에 이르러 일제의 간섭과 탄압, 그리고 국내 민족 운동가 중 사회주의자들의 심한 반발로 점차 약화되어 갔다. 특히, 사회주의자들의 반발은 1923년 2월 3일 서울에서 열린 대강연회 때부터 비롯되었다.

그들의 주장은 민족항일기에서의 민족 기업 육성은 불가능하며, 이같은 경제 자립 운동으로 다소 산업이 발달된다 하더라도 그것은 자본가를 위함이요 조선의 무산자(無産者)에게는 하등 관계가 없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1930년대 후반에 이르러 거의 소멸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운동은 3·1운동 이후 민족의 실력을 배양하고자 하였던 새로운 단계의 민족주의 운동으로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일제의 문화 통치에 역이용 당한 타협주의의 소산이며, 3·1운동의 정신에서 크게 후퇴한 독립 사상의 변질이라는 비판도 있다.

또한, 사회주의자들의 반발을 야기하여 1920년대 이후 민족운동의 분열의 단초가 되었던 점도 없지 않다. →조선물산장려운동

참고문헌

「1920년대 국내 민족운동에 관한 고찰-물산장려운동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중심으로-」(진덕규, 『한국민족주의론(韓國民族主義論)』 Ⅰ, 창작과 비평사, 1982)
「조선물산장려운동(朝鮮物産奬勵運動)의 전개과정(展開過程)과 그 역사적성격(歷史的性格)」(조기준, 『역사학보(歷史學報)』 41, 1969)
집필자
박맹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