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아리

목차
국악
작품
평안도 민요.
목차
정의
평안도 민요.
내용

평안남도 용강·강서 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불린다. 원래 이 지방 사람들이 서해안 바닷가에 조개잡이 다니는 사이에 자연적으로 생겨난 노래였다고 하나, 논농사나 밭농사는 물론 놀이에 있어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민요이다.

삶에 대한 푸념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가사의 처음은 “조개는 잡아 젓절이고 가는 님 잡아 정들이자.”로 시작한다. 유절형식(有節形式)으로 4절로 되어 있고, 선율의 구성은 완전5도 위에 조금 낮은 단3도로 된 3음음계로 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간음이 추가된다.

즉,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표시한다면 ‘레·라·도’의 3음에 ‘미’와 ‘솔’이 추가된 형태이다. 상황에 따라서 즉흥성이 많아지기 때문에 일정한 장단이 없고 소리의 한배(時價)도 일정하지 않다.

서도의 「육자배기」라고 할 만큼 지금은 많이 알려져 있으며, 독특한 콧소리를 이용한 창법이 매우 특징적이다. 평안도지방의 농사놀이인 「향두계놀이」에서 자주 불리며, 빠른 한배의 「자진아리」와 짝으로 불린다.

참고문헌

『서도소리대전집』(김정연, 경원각출판사, 1979)
『서도소리』(오복녀, 광진문화사, 1978)
『한국가창대계』(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