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군악 (길)

목차
관련 정보
농악 / 길군악
농악 / 길군악
국악
작품
농업노동요.
이칭
이칭
길꼬냉이, 질꾸내기, 질꼬냉이, 길군악, 길노래, 제화소리, 질꼬래기, 깽마쿵쿵노래, 종다리소리, 길꼬내기, 장원질 소리, 질꾸래기
목차
정의
농업노동요.
내용

일명 「길꼬냉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그 명칭이 다양하다. 전라남도의 해남이나 해안지대 및 내륙지방에서는 「질꾸내기」「질꼬냉이」, 즉 「길군악」 혹은 「길노래」라고 부르고, 같은 해남의 화산면에서는 「제화소리」라고 부른다.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에서는 「질꼬래기」, 경상북도 예천지방에서는 「깽마쿵쿵노래」, 전라북도 군산지방에서는 「종다리소리」라고 부른다. 그외에 「길꼬내기」·「장원질 소리」·「질꾸래기」 등으로도 부른다.

그 용도도 다양하여 진도와 장산도에서는 논에 나가면서 부녀자들이 일렬로 논두렁을 걸어가며 부르고, 그 밖에 전라남도의 해안지방과 내륙지방, 그리고 해남에서는 만두레 혹은 만물로 불리는 세벌 논매기 뒤에 그 해 가장 농사가 잘 된 집의 상머슴을 골라 장원이라 부르고, 그를 소 위에 태운 뒤 농악을 치면서 논두렁에서 마을을 향해오면서 부른다. 노랫말도 다양한데 이 가운데 진도 일부지방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에헤야 에헤야, 에헤야 어기야, 허얼사 지화자자, 아하 어리시구나 지화자자자 헐사 좋네, 정든님 따라서 내가 돌아를 가는고 나야……”

장단과 형식, 가락이 지방마다 각기 다르다. 이 가운데 해남의 경우는 세마치나 늦은 중모리장단에 맞고, 두 장단씩 메기고 받는 형식이며, 선율은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표시하면 ‘미·솔·라·도·레·미’로 구성되고 ‘라’로 마친다.

나주의 경우는 늦은 세마치나 늦은 중모리장단에 맞고, 선율은 ‘미·솔·라·도·레’의 5음으로 되어 있고 ‘솔’로 마친다.

참고문헌

『한국의 농요』(이소라, 현암사, 1985)
『한국의 민속예술』(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7)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98-남도들노래-』(문화재관리국, 197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