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원질소리 (질소리)

국악
작품
농민들이 논매기가 끝난 뒤 농사가 가장 잘 된 집의 일꾼을 농사장원으로 뽑아 소나 걸채에 태우고 주인집으로 행진해 가면서 하는 소리. 장원례소리, 또는 풍장소리라고도 한다.
이칭
이칭
장원례소리, 풍장소리
정의
농민들이 논매기가 끝난 뒤 농사가 가장 잘 된 집의 일꾼을 농사장원으로 뽑아 소나 걸채에 태우고 주인집으로 행진해 가면서 하는 소리. 장원례소리, 또는 풍장소리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농민들이 농사장원을 뽑아 그 집으로 가서 주인이 내는 술과 음식을 먹고 노는 풍습을 ‘장원례(壯元禮)’라 하는데, 이는 옛날 과거(科擧)에 급제한 선비들이 금의환향할 때 말을 타고 삼현육각을 울리면서 행진하던 모습을 모방한 것이다. 장원례는 일반적인 농민 위로잔치인 ‘호미씻이’라는 풍습의 하나다. ‘장원질’이란 말은 학계에서 관행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로서 전통적인 용어인 ‘장원례’와 같은 말이다. 호남지역에서는 흔히 이런 소리를 ‘풍장소리’라 하는데, 이는 농민들이 행진하면서 풍장(풍물)을 치는 데서 생겨난 명칭이다.

장원질소리는 논매기 때 하는 소리여서 흔히 농업노동요의 하나로 분류해 왔지만, 논을 매는 과정이 아니라 논을 다 매고 마을로 행진해 들어가면서 하는 소리이므로 근래에는 유흥요(유희요)의 한 갈래인 ‘행악(行樂)’의 하위분류로 넣기도 한다.

내용

장원질소리로 부르던 악곡은 매우 다양하다. 전라남도 서부 평야지역에서는 ‘애롱대롱’류, 서남 해안지역의 ‘질꼬내기’와 ‘질가락’, 동부 산간지역의 산아지타령·매화타령·양산도 등을 불렀고, 전라북도에서는 섬마타령·뚜름박소리·방개타령·질꼬내기 등을 불렀으며, 경상북도에서는 칭칭이소리·캥마쿵쿵·방아소리·거화야 등을 불렀다.

장원질소리의 노랫말 내용은 그날의 흥겨운 심정과 모습을 묘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 정황이 잘 묘사된 대표적인 장원질소리 노랫말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후렴) 아롱 자롱

우리에 농군들 다 잘도 허시네

오늘은 이 집의 풍장을 마치고

내일은 뉘 집의 풍장을 할 거나

오늘 저녁에 닭 잡어 죽 쑤면

닭죽에다가 한 잔썩 드시고

춤도 추시고 노래도 하시고

아이고 우리도 내일부터는

논 많이 사갖고 상머심 들이고

소 타고 검정칠 하고 들어를 올 때

이리도 자친 저리도 자친

풍년 노래를 불러를 보세

(1989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갈곡리 / 유승림 외)

현황

장원질소리는 전라남도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전라북도와 경상북도가 그 뒤를 잇는다. 그 밖의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농민 위로잔치인 호미씻이를 하는 경우가 많아서, 흔히 풍물을 치고 놀지만 행진을 하면서 노래를 부르지는 않는다. 이 모든 풍습은 농촌 현장에서 자취를 감춘 지 오래이며,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농요패가 주기적으로 하는 시연회나 해당 지역의 민속축제에서나 보고 들을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장원질소리는 가장 힘든 농사일인 논매기를 마치고 나서 부잣집 일꾼을 장원으로 뽑아 앞세우고 주인집으로 가서 음식을 청해 먹고 노는 풍습이 한반도 남부 지역에 존재했음을 알 수 있는 용어로서 의의가 있으며, 농민들의 행렬이 선비들의 장원급제 행렬을 모방한 것임을 알 수 있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다만, ‘장원질소리’라는 용어는 전통적인 용어인 ‘장원례소리’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전남의 민요』(지춘상, 전라남도, 1987)
『한국민요대전』 전라남도편·경상북도편·전라북도편(문화방송, 1993∼1995)
집필자
최상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