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개물 ()

목차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감찰사, 사헌지평, 전부시승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73년(원종 14)
사망 연도
1327년(충숙왕 14)
본관
의성(義城)
출생지
경상북도 의성군
주요 관직
감찰사(監察史)|사헌지평(司憲持平)|전부시승(典符寺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감찰사, 사헌지평, 전부시승 등을 역임한 문신.
내용

김개물(金開物)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초명은 서정(瑞廷), 자는 원구(元龜)이다. 아버지는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김훤(金晅)이다. 김개물은 과거에 여러 차례 낙방하였으나 춘궁시독(春宮侍讀)으로 충선왕을 호종하였던 아버지 김훤(金晅)의 덕으로 충선왕대에 감찰사(監察史)로 발탁되어 관직에 진출하였다. 전부시승(典符寺丞)으로 있을 때, 내부령 강융(姜融)의 청탁을 거절하였다가 그의 참소로 송가도(松加島)에 유배되었다. 후에 합주(陜州)의 수령으로 제수하였으나, 사양하고 부임하지 않아 다시 자연도(紫燕島)로 유배되었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 15년 동안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유유자적하면서 한거하였다. 1325년(충숙왕 12) 서정을 쇄신하려는 충숙왕에 의해 다시 사헌지평(司憲持平)에 등용되었다가 장세(張世)의 말 탈취 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충숙왕의 총신(寵臣) 왕삼석(王三錫)은 장세의 매부이기에 김개물을 때리고 마음대로 장세를 풀어주었다. 이러자 김개물과 헌사의 관리들이 대궐에 나아가 왕에게 장세에게 죄를 줄 것을 건의하였다. 하지만 충숙왕이 왕삼석의 편을 들자 사직하였다. 당시 사람들은 그의 부당한 사직을 애석하게 생각하였다.

『고려사(高麗史)』에 따르면 김개물은 성품이 강직했으며 어려운 일이 있어도 태연하게 대처하였다고 한다. 또한, 시(詩)·서(書)·화(畫)에 모두 일가를 이루었다. 손님을 맞이할 때 술자리를 마련해 거문고를 타고 시를 지으며 즐겁게 대했으며, 대간을 지낼 때는 쟁신(諍臣)의 기풍이 있었다고 전한다. 김개물의 아들로는 과거에 급제한 김섬(金銛)이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