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 참전하여 순절한 선비이자 학자.
이칭
경구(景久 )
송산(松山)
봉호
월성군(月城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5
사망 연도
1592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충청북도 보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성원은 조선 전기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 참전하여 순절한 사인(士人)이자 학자이다. 어려서부터 독실한 행실이 있었고, 크고 작은 일에 관계없이 조헌에게 물어 남다른 사랑을 받았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조헌이 의병을 일으키자 그를 따라 금산전투에 참가하였다. 금산군의 서쪽 경계에서 적과 하루 종일 싸우다가 아군의 후원 세력이 없어 조헌과 함께 전사하였다. 뒷날 이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칠백의사총(七百義士塚)에 묻혔다.

정의
조선 전기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 참전하여 순절한 선비이자 학자.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경구(景久), 호는 송산(松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형조판서를 지낸 김정(金淨)이다. 청청북도 보은(報恩)에 살았으며, 중봉(重峰) 조헌(趙憲)의 문인이다.

주요 활동

젊어서부터 독실한 행검(行檢)이 있어 중봉(重峯) 조헌(趙憲)이 김성원을 사랑하여 학문을 가르치면서, “너는 지극한 성품만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명현(名賢)의 후손이니 더욱 힘써 하라.”고 하자, 그는 성심껏 선생을 복종하여 섬겼다. 1592년 임진왜란을 당하여 조헌이 의병을 일으켜 적을 토벌하자, 그는 용기 분발하여 선생을 따라 금산전투에 참가하였다.

이때 그의 부모가 연로하므로 가속(家屬)들이 참전을 말렸지만, 군부(君父)가 몽진(蒙塵)하였는데도 어찌 나 개인의 일만 돌아볼 수 있겠는가라고 하면서 출전하였다. 8월 18일 금산군의 서쪽 경계에서 적과 하루 종일 싸워 적이 거의 패배할 단계에까지 이르렀지만, 아군의 후원세력이 없어 조헌과 함께 28세로 전사하였다. 그와 함께 전투에 나갔던 종 몽해(夢亥)가 시신 더미에 숨어 있다가 살아나와서 전하기를, 우리 주인은 전장터에서도 조헌께서 항상 곁에 두고 크고 작은 일을 자문하였으며, 의(義)에 부끄러움이 없어야 한다고 하였다.

상훈과 추모

1595년(선조 28) 금산의 전적지에 윤근수(尹根壽)가 지은 비에 김성원의 이름을 새겼다. 김성원이 죽었을 때 나이 28세였는데, 적이 퇴각한 후 문생(門生)들이 시체를 수습하여 만든 칠백의총(七百義塚) 가운데에 함께 묻혔다. 1634년(인조 12)에 건립되고, 1663년(현종 4)에 종용(從容)으로 사액(賜額)된 종용당에 배향되었다. 뒷날 이조참판에 추증되고, 월성군(月城君)에 봉해졌으며,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보감(國朝寶鑑)』
『난중잡록(亂中雜錄)』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송자대전(宋子大典)』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월정집(月汀集)』
『중봉선생문집(重峯先生文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