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익희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성, 대사헌, 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문(仲文)
창주(滄洲)
시호
문정(文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10년(광해군 2)
사망 연도
1656년(효종 7)
본관
광산(光山)
주요 관직
대제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성, 대사헌, 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중문(仲文), 호는 창주(滄洲). 할아버지는 김장생(金長生)이고, 아버지는 김반(金槃)이며, 어머니는 서주(徐澍)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33년(인조 1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부정자(副正字)에 등용되었다.

같은 해 검열을 거쳐 홍문록(弘文錄)에 올랐다. 1635년 수찬(修撰)·사서(司書)를 거쳐, 이듬해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척화론자로서 청나라와의 화평을 반대하며, 왕을 남한산성에 모시고 가서 독전어사(督戰御使)가 되었다.

1637년 교리(校理)·집의(執義)를 거쳐 1639년 이조좌랑이 되고, 1642년 사간이 되었다. 1653년 부제학으로서 오랫동안 버려두었던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제사 드릴 것을 청하여 시행하게 하였다.

이듬해 김익희의 주장으로 사학(四學)에 교수 각 1인을 겸교수라 일컫고 시종으로 임명하게 하였다. 1655년 대사성·대사헌이 되고, 이듬해 대제학이 되었다. 1708년(숙종 34) 손자 김진옥(金鎭玉)이 김익희의 글을 모아 『창주유고(滄洲遺稿)』를 간행하였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조선도서해제(朝鮮圖書解題)』
『국조방목(國朝榜目)』
『송자대전(宋子大全)』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