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해주목사, 양재찰방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홍지(弘之)
인재(認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1년(명종 6)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예안(禮安: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출생지
개성
주요 관직
해주목사|양재찰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해주목사, 양재찰방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홍지(弘之), 호는 인재(認齋). 아버지는 김여정(金汝鼎)이다. 아들이 옹진군수를 지낸 김정후(金靜厚)다.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76년(선조 9) 별시 주1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여러 관직을 거쳐 1599년 윤4월에 주2에 제수되었는데, 지평 남탁(南晫)의 탄핵을 받아 부임하지 주3 이어 1599년 5월에는 주4가 되었다. 1600년에는 구황책(救荒策)을 성실하게 수행하지 않았다는 황해도어사 김치(金緻)의 상소로 파직당하였으나, 1602년 모두 모함이었음이 드러나 복직되고 양재찰방(良才察訪)을 지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주석
주1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八(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2

해주목사 임명 : 선조실록112권, 1599년(선조 32) 윤4월 15일. "이흡을 남양 부사로, 김현도를 해주 목사로, 윤경을 부평 부사로 삼다"

주3

남탁의 탄핵 : 선조실록112권, 1599년(선조 32) 윤4월 21일. "지평 남탁이 은진 현감 이계금과 해주 목사 김현도 등에 관해 아뢰다"

주4

서흥부사 임명 : 황해도전지(黃海道全誌) 3책, 서흥부.(장서각 청구기호 : K2-434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