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흠돌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신라 시대 문무왕대 활약한 진골 출신의 고위 관료로, 신문왕 때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인물.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681년
주요 관직
대아찬(大阿飡)|대당총관(大幢摠管)|대당장군(大幢將軍)
관련 사건
김흠돌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흠돌은 신라 중대의 진골 귀족 출신 관료였다. 문무왕대에 장군직을 역임하였으며, 신문왕이 태자였을 때 그의 장인이 되었다. 그러나 뒤에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되어 죽임을 당했고, 자신의 딸도 이 때문에 출궁되었다.

정의
신라 시대 문무왕대 활약한 진골 출신의 고위 관료로, 신문왕 때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인물.
인적 사항

김흠돌(金欽突)은 성이 김씨(金氏)이고, 신문왕 정명(政明)이 태자일 때 자신의 딸을 태자비로 납비한 것으로 보아 진골 귀족 출신이었음이 분명하다. 관등도 문무왕대에 5등 대아찬(大阿飡)이었고, 신문왕 원년 반란을 일으켰다가 처형당할 때는 3등 소판(잡찬)으로 승진한 상태였다.

주요 활동

김흠돌은 문무왕(文武王) 원년(661) 중국 당나라의 요청에 따라 고구려를 정벌하기 위해 대당(大幢) 군단이 동원되었을 때 그 장군 중 한 사람으로 임명되었다. 문무왕 8년(668)에는 대아찬으로서 대당총관(大幢摠管)이 되어 대고구려 전쟁에 참전하였다.

『삼국사기』 신문왕(神文王) 즉위년(681) 조에 따르면, 신문왕이 태자로 있을 때 김흠돌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오랫동안 아들이 없었다고 한다. 신문왕이 태자로 봉해진 때가 문무왕 5년(665)이므로, 김흠돌이 대아찬으로서 대당장군(大幢將軍)으로 임명된 다음이다. 이 시기 태자의 장인이 될 정도로 중앙 정치와 군사 분야의 유력자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신문왕 원년(681) 8월 8일에 파진찬 흥원(興元), 대아찬 진공(眞功) 등과 함께 반란을 꾀하였다가 신문왕 1년(681)에 처형되었다.

평가

반란을 진압한 뒤 신문왕이 내린 교서를 보면, 김흠돌 등이 재능이 있어서가 아니라 국왕이 은전을 베풀어 승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위세를 부리고 탐욕스러웠다고 하였다. 나당전쟁을 거치면서 진골 출신 고위 관료들이 친당파라는 이유 등으로 숙청되었으며, 이로 인해 진골 귀족과 왕권 사이에 갈등이 있었다. 김흠돌의 경우는 자신의 딸이 태자비가 되었으나, 아들을 낳지 못하자 국왕 인척으로서의 지위가 유지되지 못할 것을 예상하고 반란을 주도하였다고 보인다.

반란이 실패함으로써 신문왕비는 출궁되었고, 반란 가담자들은 모두 처형당하였다. 병부령으로 있던 이찬 김군관(金軍官)은 김흠돌의 난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으나, 반란의 계획을 알고 고발하지 않았다는 불고지죄를 물어 그의 아들과 함께 자결하게 하였다. 신문왕은 이처럼 철저한 응징을 통해 중대 왕권을 안정시킬 수 있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영호, 『신라 중대의 정치와 권력구조』(지식산업사, 2014)
金壽泰, 『新羅中代政治史硏究』(일조각, 1996)

논문

최홍조, 「神文王代 金欽突 亂의 재검토」(『大丘史學』 58, 1999)
李基白, 「統一新羅時代의 專制政治」(『韓國古代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199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