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기제 ()

아아록 / 남기제
아아록 / 남기제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아아록』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인수(仁叟)
설하거사(雪下居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의령(宜寧)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아아록』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인수(仁叟), 호는 설하거사(雪下居士). 도승지 남노성(南老星)의 5대손이다.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영조 때 사마시에 합격한 노론계 학자로 경기도 양평 용문산의 승사(僧舍)에서 남인·북인·소론·노론 각각 한 사람씩 모여 논쟁하는 체제로 가작(假作)한 「용문산문답(龍門山問答)」과 단종∼경종 때까지의 사화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내막을 기록한 「사화(士禍)」를 합쳐 『아아록(我我錄)』을 저술하였다.

참고문헌

『아아록(我我錄)』
『조선도서해제(朝鮮圖書解題)』(조선총독부, 191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