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응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승정원주서, 길주목사, 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치원(致遠)
국창(菊窓), 난재(蘭齋), 관원(灌園)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09년(중종 4)
사망 연도
1587년(선조 20)
본관
의령(宜寧)
주요 관직
승정원주서|길주목사|경기도관찰사
정의
조선 전기에, 승정원주서, 길주목사, 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치원(致遠), 호는 국창(菊窓)·난재(蘭齋)·관원(灌園).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삭령군수 남변(南忭), 아버지는 참판 남세건(南世健), 어머니는 이윤식(李允湜)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35년(중종 30)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1537년 교서관검열, 이듬해 승정원주서가 되었다. 이때 춘당대의 시예에서 제술로 입격해 반숙마(半熟馬) 한필을 하사받았다.

김안로(金安老)의 탄핵에 앞장서기도 했으나 춘추관기사관을 겸하면서 사관직(史官職)을 소홀히 한 잘못으로 탄핵을 받고 추고(推考)되었다.

이어 외직인 강계판관이 되었다. 이때 변방의 야인들이 자주 침범해 백성들을 괴롭히는 것을 경험하고 뒤에 내직으로 돌아와서 야인에 대한 강경책을 주장했다.

1545년(인종 1) 사성으로 참교를 겸직했고, 춘추관 편수관이 되어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했다. 1546년(명종 1) 장령이 되어 다음 해 을사사화 이후에 남아 있던 대윤 세력의 근절을 주장하기도 했다.

1549년 장령으로서 양사(兩司)의 관원과 함께 이기(李芑)·윤인경(尹仁競)·정순붕(鄭順朋) 등의 국정 천단을 탄핵하다가 실패했다.

마침 북방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길주목사(吉州牧使)로 임명되었다. 1551년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장례원판결사·좌부승지·우부승지·참찬관 등을 차례로 역임하고, 1554년 황해도관찰사를 지냈다.

그 뒤 1557년 형조와 병조의 참의, 1559년 우승지·함경도병마절도사, 1561년 동지중추부사, 1564년 경기도관찰사, 1565년 경상도관찰사 등을 두루 역임했다. 1584년(선조 17) 공조참판에 이르렀다.

일찍이 서총대(瑞葱臺)의 시예에서 문과·무과에 모두 합격하는 등 문무를 겸비해 남병사(南兵使)를 세 번이나 역임하는 등 북방의 전략에 밝았다.

상례에도 밝아서 선조 초년 복상 문제가 대두되었을 때 세종 때 제정한 『오례의(五禮儀)』에 따를 것을 주장했고, 글씨에도 일가를 이루었다. 특히 전서와 주서에 능해 많은 비에 전서를 썼다.

현재 남아 있는 작품으로는 개성에 있는 서화담경덕비(徐花潭敬德碑), 운봉에 있는 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과천의 허엽신도비(許瞱神道碑), 장단에 있는 허종신도비(許琮神道碑) 등의 전서가 있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구호문집(龜湖文集)』
『순암문집(順菴文集)』
집필자
이태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