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집 ()

기정진의 노사집 중 권수면
기정진의 노사집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기정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기정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0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문집 28권, 답문유편(答問類編) 15권, 부록 2권. 목판본. 1882(고종 19) 제자들이 문집 22권을 편집하고, 1890년 ≪답문유편≫ 15권을 완성하여 활자본으로 간행했고, 그 뒤 1902년 목판본으로 중간되었다. 이 중간본은 초간본의 체재와 거의 같으며, ≪답문유편≫에 정의림(鄭義林)의 발문이 있다.

내용

이 문집은 시문 등 문예 위주로 편집된 대개의 문집류와 달리 경학(經學) 내지 성명(性命)·이기(理氣)에 관한 철학사상으로 채워져 있는 점이 특징이다.

내용은 문집 권1·2는 시, 권3은 소·사장(辭狀)·책(策), 권4∼15는 서(書), 권16은 잡저, 권17∼20은 서(序), 권21∼23은 기, 권24는 발, 권25는 잠(箴)·축문·제문, 권26은 비(碑)·묘지명, 권27은 묘표, 권28은 전(傳)·행장·유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답문유편≫ 권1∼3은 논도체(論道體)로, 권1 총론, 권2 성명, 권3 심성정(心性情)·형기신리(形氣神理)·귀신명수(鬼神命數), 권4·5는 논학(論學)으로, 권4 총론·지수(持守), 권5 지행(知行)·출처(出處), 권6∼9는 논경(論經)으로, 권6 소학·대학, 권7 논어, 권8 맹자·중용, 권9 시·서·역·춘추·예기, 권10·11은 논선유서(論先儒書)로, 주자(周子)·정자(程子)·장자(張子)·주자(朱子) 및 제유(諸儒), 권12∼14는 논례(論禮)로, 통례(通禮)·관례(冠禮)·혼례·상례(喪禮)·제례·방례(邦禮), 권15는 논사(論史)·훈문인(訓門人)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집 28권 중에서 12권을 차지하고 있는 서(書)의 대부분은 그가 문인들과 주고받은 성리학적 질의에 관한 것이다. 문집 중의 서·잡저와 ≪답문유편≫은 그의 철학사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특히 잡저 중의 <납량사의 納凉私議>와 <외필 猥筆>은 그의 ‘이(理)’에 대한 철학사상의 핵심을 담고 있다. 잡저 속의 논의에서 그는 우주만물의 생성변화를 이와 기로 설명하는 이기철학의 이기이원관을 극복하고 유리론적(唯理論的)인 ‘이일분수(理一分殊)’의 논리체계를 정립해 자신의 이의 철학의 기틀을 세우고 있다.

<외필>에서는 이를 인간을 포함한 우주만물을 생성, 변화하게 하는 근원적 실재라고 보았다. 또한 <납량사의>에서는 태극(太極) 일리(一理)의 현현(顯現)인 현상계에 대한 설명에서 이기철학에서와 같이 기의 동정운행에 의해 현상계의 차별이 생긴다고 보는 관점을 거부하고, 기의 발동과 운행은 오직 이의 명령이나 시킴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양(陽)이 동(動)하고 음(陰)이 정(靜)하는 것은 한결같이 천명(天命)으로 그렇게 되는 것이며, 동하고 정하는 것이 기라면, 동하게 하고 정하게 하는 것은 이라고 하였다.

<외필>에서도 기는 이에 순종해 발동하는 것이니 기의 발동은 곧 이의 발동이며, 기는 이의 명령에 따라 실행하는 것이니 기의 실행은 곧 이의 실행이라고 주장하였다.

잡저의 <정자설 定字說>은 <태극도설> 중의 ‘정(定)’자에 대한 해석이며, <우기 偶記>는 사단칠정(四端七情)을 논한 것이고, <이통설 理通說>은 이기 및 이이(李珥)의 이통기국(理通氣局)에 관한 논의이다.

그의 이존무대(理尊無對)의 이기관은 “이는 시키는 자(命物者)요, 기는 시킴을 받는 자(被命者)이므로, 그 지위가 평등할 수 없다.”고 본 이황(李滉)의 입장과 일면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황이 이를 기의 우위에 두면서도 그 기능면에서는 이도 발동하고 기도 발동한다는 이른바 ‘이기호발(理氣互發)’을 주장한 데 비해, 그는 기의 발동은 오직 이가 유행하는 손발이나 이 속의 일이라고 봄으로써 기의 독립적인 기능을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그는 ‘이기호발’을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이황의 ‘이발(理發)’을 옹호한 반면, 이이의 ‘기발(氣發)’을 비판하였던 것이다.

그의 이함만수(理涵萬殊)의 심성론(心性論)도 이일분수의 논리와 이존무대의 이기관에 근거한 우주구성의 원리에 입각하고 있다. 장재(張載) 이래 정자·주자·이황·이이와 같은 이기철학자들은 마음은 이 그대로의 성과 이와 기의 합동으로 일어나는 정을 통합한다(心統性情)고 보았으며, 인성(人性)을 본연의 성과 기질의 성으로 양분해 본연의 성은 순수한 이 그대로의 성이요, 기질의 성은 기의 맑고 흐리고 순수하고 잡다함에 따라서 달라지는 성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반해 그는 이기이원관에 의하여 본연의 성과 기질의 성을 구분하는 것을 반대하고, 양자를 이의 일(一)과 분수(分殊)의 관계로 이해해 이의 유행인 기질의 성 속에서 본연의 성을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본연의 성과 기질의 성의 관계를 본원(本源)의 일리(一理)와 분수의 만리(萬理)의 관계로 보고, 이의 분수인 기질의 성 속에서 이의 일(一)로서의 본연의 성을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

또 순선(純善)한 정(情)인 사단과 선이 될 수도 있고 악이 될 수도 있는 칠정을 모두 이 속의 일로 보고, 사단을 ‘이발’, 칠정을 ‘기발’이라고 보는 이기호발설을 반대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은 그 묘맥(苗脈)을 달리하기는 하지만 모두 이의 유행을 떠나서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인심을 ‘기발’, 도심을 ‘이발’이라고 보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호락논쟁(湖洛論爭)의 중심과제가 된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와 심체선악(心體善惡)의 문제에 대해서도 자신의 이일분수(理一分殊)의 논리에 의해 이해하였다.

호락논쟁은 권상하(權尙夏) 문하의 한원진(韓元震)과 이간(李柬) 사이의 왕복토론에서 발단된 것이다. 한원진의 설을 지지하는 호론(湖論)에서는 인성과 물성은 다르며 아직 발동하지 않은 심체(心體)에 선악이 있다고 주장하는 데 반해, 이간을 지지하는 낙론(洛論)에서는 인성과 물성은 같으며 아직 발동하지 않은 심체는 선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호락논자들의 인물성동이에 대해, 만물은 그 근원을 같이하므로 이의 본연에서 보면 인성과 물성의 차이가 없지만, 각 개체에 주어진 분수의 이에는 편전(偏全)의 차이가 없을 수 없다고 하여 그 논쟁을 매듭지었다.

그의 학문은 스승으로부터 전수받거나 영남학파니 기호학파니 하는 연원을 따라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주(周)·장(張)·정(程)·주(朱) 4자의 서(書)를 읽고 독자적인 궁리와 사색에 의해 완성된 것으로서 이 문집 속에 체계화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문집은 이황·이이 이후 300년 간이나 계속된 이른바 주리(主理)·주기(主氣)의 논쟁을 극복하고 이일분수의 논리에 의해 독창적인 이(理)의 철학체계를 수립한 저자의 사상이 집약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1976년 아성문화사(雅盛文化社)에서 ≪노사선생문집≫으로, 1982년아세아문화사(亞細亞文化社)에서 ≪기정진전집≫으로, 1983년보경문화사(保景文化社)에서 ≪노사선생전집≫으로 영인, 간행되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조선유학사』(현상윤, 민중서관, 1949)
『한국유학사』(배종호, 연세대학교출판부, 1974)
『한국사연구입문』(한국사연구회 편, 지식산업사, 1981)
「기로사(奇蘆沙)의 리(理)의 철학」(안진오, 『정종박사정년기념논문집』, 정종박사정년기념논문집간행회, 198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