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소 ()

목차
촌락
개념
동성집단이나 동성마을에서 노인들을 위해 운영하던 기관. 경로기관.
목차
정의
동성집단이나 동성마을에서 노인들을 위해 운영하던 기관. 경로기관.
내용

‘양로소(養老所)’라고도 한다. 물론 전통사회의 모든 마을들에 노인소가 다 있지는 않았으며, 또한 각 노인소마다 그 존재형태가 달랐다. 한편 마을의 사회적 여건이 변화함에 따라 노인소도 그 형태와 원래의 기능이 많이 바뀌었고 때로는 마을에서 사라지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는 이·동 단위의 마을에서 흔히 운영되고 있는 경로당을 노인소의 현대적 변용형태로 볼 수 있다. 노인소란 일반적으로 환갑을 지낸 마을 어른들의 모임이다. 특히 나이의 많고 적음이 사회적 권위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던 전통사회 마을에선 상당한 정치적 힘을 행사했던 기구였다.

노인소가 맡고 있던 중요한 일들로는 1년에 몇 차례에 걸친 시작(詩作)·천렵·소풍 등의 친목활동을 행하는 것과 마을에 관계된 모든 일에 관하여 마을사람들의 의사를 집약하고 결정하는 여론지도적 구실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마을 안팎의 행사와 사업 결정은 모두 여기에서 이루어졌고, 마을사람들 사이에 발생하는 다툼을 말리고 갈등을 푸는 것도 이 노인소를 거쳐서 이루어졌다.

또한 질서와 양속·도덕을 해치는 자도 여기에서 다스렸으며, 때로는 마을에서 쫓아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전통사회에서의 노인소는 단순한 자문기관이라기보다는, 안으로는 위계 질서를 세우고 이를 파괴하는 요소를 응징하여 결속을 도모하는 기구였다. 그리고 밖으로는 중재와 대변을 담당하는 기구의 구실과 권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특성은 농촌사회의 모든 여건의 변화에 따라 구조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 즉, 급속한 사회경제적 발전에 의하여 마을사회가 더 이상 자급자족 단위로 존재하지 못하게 되자, 오히려 외부세계와의 관계에 따라 마을사람들의 생활이 좌우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변화에 민첩하게 적응하고 대처할 지식과 판단력이 중시됨에 따라 지도자의 연령이 비교적 낮아졌으며, 나이 많은 노인들은 그 마을의 전통적 윤리관과 도덕관의 상징으로서 자문의 구실만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민족항일기부터 뚜렷해졌다. 즉, 마을이 자치적인 단위에서보다 중앙집권적인 행정력의 관할 속에 들어감에 따라, 노인소와 같은 비공식적 기구의 정치적 권한은 상대적으로 약화, 축소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노인소는 별다른 강제력이나 구속력을 갖지 못한 단순한 자문기관이나 계(契)의 모임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참고문헌

『동족부락의 생활구조연구』(김택규, 청구대학 출판부, 1961)
「전통생활양식의 정치적측면」(김광억, 『전통적 생활양식의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집필자
김택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