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각 ()

목차
과학기술
유적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홍대용 자택에 있었던 조선후기 홍대용이 만든 천문관측소. 천문관측시설.
목차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홍대용 자택에 있었던 조선후기 홍대용이 만든 천문관측소. 천문관측시설.
내용

천문학에 특히 큰 관심을 갖고 있던 그는 1759년(영조 35) 나주(羅州)에 있는 기술자 나경적(羅景績)과 그 문인 안처인(安處仁)에게 의뢰하여 3년간의 작업 끝에 혼천의(渾天儀)와 서양식 자명종[候鐘]을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천문의기를 그는 자기 집 남쪽 마당에 호수를 파고 그 가운데에 정자를 지어 그 안에 보관하였고, 이 관측소를 그는 두보(杜甫)의 시 “日月籠中鳥乾坤水上萍(일월농중조 건곤수상평)”의 한 구절에서 따서 농수각(籠水閣)이라 불렀다.

1766년 북경 방문에서 돌아온 뒤 그의 농수각에는 다른 천문기구들이 더 만들어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통천의(統天儀)·혼상의(渾象儀)·측관의(測管儀)·구복의(勾服儀) 등이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홍대용 자신이 이들 관측기구로 천문관측을 열심히 하고 있었던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직접 이 기구들을 만들지도 않았을 뿐 아니라 일단 만든 기구는 실제 관측보다는 보고 즐기는 정도에 그쳤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당시에 이 정도의 열성이나마 지니고 있었다는 것은 값진 것으로 여길 수 있다는 점에서 그의 농수각의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담헌서(湛軒書)』
『항전척독(杭傳尺牘)』
『주해수용(籌解需用)』
집필자
박성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