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현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개념
거문고 · 가야금 · 해금 등의 현악기에서 왼손으로 줄을 짚고 본래의 음 이외에 여러 가지 음을 내는 수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거문고 · 가야금 · 해금 등의 현악기에서 왼손으로 줄을 짚고 본래의 음 이외에 여러 가지 음을 내는 수법.
내용

요(搖)·요롱(搖弄)·농(弄)이라고도 하며, 관악기의 요성(搖聲)과 같다. 넓은 뜻으로는 줄을 흔드는 것, 또 줄을 끌어내리거나[退聲] 줄을 밀어 소리를 낸 다음 급히 제 음으로 끌어내리는 것(꺾는 소리), 줄을 급히 밀어올렸다가 다시 제 음으로 돌아오는 것[轉聲] 등을 통틀어 의미하고, 좁은 뜻으로는 줄을 흔들어 소리를 내는 법만을 의미한다.

좁은 뜻의 농현에 대하여 ≪현금동문류기 玄琴東文類記≫에는 “농현은 너무 느려도 안 되고, 너무 급해도 안 된다. 시작은 느리게 유원(悠遠)한 소리가 나야 하고, 그칠 때는 빨라져 사라지는 듯한 소리로 매듭지어야 한다. 말로 표현한다면 마치 범나비가 나는 것 같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요즈음도 농현이 너무 빠르면 전성(顫聲) 또는 발발성이라고 하여 기피한다.

농현하는 방법은 정악(正樂)의 경우 1박일 때는 처음부터 농현하고, 2박 이상일 때는 그 끝박만 농현한다. 전라도의 음악은 1박이나 2박 이상의 긴 박자일 경우에도 처음부터 격렬하게 흔드는 예가 비교적 많다. 농현의 자리는 평조(平調)의 경우 5음 가운데서 첫 음(기음)과 넷째 음에 많이 나오고, 계면조(界面調)의 경우 대개 4도 또는 5도 상행할 때 그 앞의 음에 나온다.

전성이 나오는 자리는 대개 농현 자리와 같고, 다만 1박 이내의 짧은 음에서 많이 나오는데, 이것은 농현의 축소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수법, 즉 넓은 뜻의 농현은 줄을 가볍게 짚는 경안법(輕按法)과 줄을 밀거나 당기어 짚는 역안법(力按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악학궤범≫·≪금합자보 琴合字譜≫·≪양금신보 梁琴新譜≫ 등을 비교해 보면 성종 이전의 거문고나 해금 같은 현악기는 주로 경안법을 사용하고, 성종 이후 선조에 이르는 사이에 차츰 역안법으로 그 연주법이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안법에서 역안법으로의 전환은 농현을 비롯하여 전성·퇴성 등의 기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국적인 멋을 심화시키고 여운을 남기며, 표현력을 가질 수 있는 음악으로 전환, 발전하게 하였다.

참고문헌

『악학궤범』
『금합자보(琴合字譜)』
『양금신보(梁琴新譜)』
「농현법의 연구」(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거문고의 역안법에 따른 연주기법의 발전에 대하여」(장사훈, 『한국전통음악의 연구』, 보진재, 1975)
「전성법과 퇴성법」(장사훈, 『한국전통음악의 연구』, 보진재, 1975)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