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형담 ()

목차
구비문학
개념
이야기를 시작하는 척하다가 이내 끝내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짧은 이야기로 구성된 설화. 형식담.
목차
정의
이야기를 시작하는 척하다가 이내 끝내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짧은 이야기로 구성된 설화. 형식담.
내용

이야기를 강청(强請)하는 사람에 대하여 마지못해 시작하는 체하다가 싱겁게 끝내버릴 경우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 형식은 내용의 전달보다는 화자(話者)가 처음에는 매우 긴 이야기를 진지하게 하는 듯하여,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잔뜩 기대를 가지게 하다가 갑자기 끝맺는다는 특징을 지녔다.

예컨대 "옛날에 짚신장수가 있었는데 하루는 짚신을 삼다가 깔깔깔 웃고 죽더란다."라든가 "옛날 옛날 아주 옛날에 애기가 때기를 지고 일백육십리 길을 가니까 날이 훤히 새더래." 혹은 "옛날 옛적 젓날 젓적 귀뚜라미 사령 적에 고추 먹고 당초 적에 팔도강산 그릴 적에 한 사람이 있었는데 성은 고요 이름은 만이다. 지(기)냐? 짜르냐? 진(긴)진 담뱃진, 짜르다 짜르다 곰방대."와 같은 것이다. 이야기 끝에 이야기를 다하였다는 말을 덧붙이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6)
『한국설화(韓國說話)의 유형적연구(類型的硏究)』(조희웅, 한국연구원, 1983)
집필자
조희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