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비

목차
동물
생물
족제비과에 속하는 동물.
이칭
이칭
담부, 초(貂), 학(貉), 학(貈), 학(狢), 앙사(𧲱𧳅), 훤(貆)
목차
정의
족제비과에 속하는 동물.
내용

담부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산달(山獺, 노란 담비)·초(貂)·학(貉·貈·狢)·앙사(0x968d0x9662)·훤(貆)이라고 하였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담비속에는 산달, 검은담비, 노란목도리담비 3종이 있다.

검은담비는 족제비와 비슷하나 몸집이 다소 커서 60㎝ 정도이며, 몸체가 가늘고 길다. 다리는 고양이보다 짧으며 꼬리는 푸석하다. 털빛은 연한 황갈색에서 흑색까지 변화하며, 털은 무척 치밀하고 부드럽다. 암컷은 수컷보다 상당히 작다. 노란목도리담비는 몸통은 가늘고 길며 꼬리는 몸통 길이의 3분의 2 정도이다. 머리, 얼굴, 다리와 꼬리는 검은 갈색이고 귀 뒤로부터 한 줄의 검은 띠가 있다. 등 쪽은 대부분 밝은 갈색으로 꼬리 쪽으로 갈수록 어두운 갈색을 띠고 배 쪽 털은 연한 살구색이다. 목 부분은 밝은 노란색으로 목덜미는 어두운색이며 아래턱은 흰빛을 띤다. 울창한 침엽수림에서 2~3마리씩 무리 지어 산다. 잡식성으로 포유류부터 조류, 과실, 도토리 등을 먹는다.

야행성 동물이지만 봄과 여름에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활동한다. 땅 위에서 살며, 나무 위에는 올라가는 일이 드물고 또 그다지 능숙하지도 않다. 행동반경은 2∼4㎞ 내외로 매우 활동적인 편이다. 봄·여름에는 2∼4마리씩 행동을 같이 하는데, 이것은 교미시기인 때문으로 생각된다.

겨울이 되면 암컷은 동굴을 근거지로 하여 활동하며, 임신기간은 263∼294일이다. 봄이 되면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어린 새끼들은 36일 만에 눈을 뜨기 시작하여 6∼8주간이 경과하면 동굴에서 나오게 되며 9월경 독립생활에 들어간다.

수명은 약 10년 정도이다. 잡식성으로 가을에는 머루·잣 등의 과실을 먹으며, 여름에는 들쥐·다람쥐·청서·산토끼를, 겨울에는 야생조류 특히 들꿩·멧닭 등을 주로 잡아먹는다.

산달은 검은담비와 크기가 비슷하지만 꼬리는 훨씬 길어서 미율(尾率)이 39∼48에 달한다. 교미 시기는 2∼3월이며 임신기간은 7주, 새끼는 1, 2마리를 낳는다. 먹이는 쥐와 야생조류가 주식이다. 모피는 아름다우나 검은담비에는 미치지 못한다.

담비의 모피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이 모피를 왕실 전용으로 인식하여 왔고, 산지에서는 토산품으로 진상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초피(貂皮)라 하여 당상관 이상의 관위를 가진 사람이 사용할 수 있었다. 색채가 매우 아름답고 윤택이 나며, 털은 부드럽다. 또한, 가볍고 보온력이 뛰어나 모피 중 최상등으로 쳤다.

만주지방과 우리나라의 삼림지대, 특히 함경남도 갑산이 담비의 서식지였으나, 현재는 백두산 보천보 일대에 희소하게 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원병휘, 문교부, 196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