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칠성동 고인돌 ( 고인돌)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유적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는 청동기시대 거석기념비로 추정되는 고인돌. 지석묘.
이칭
이칭
칠성암(七星巖)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는 청동기시대 거석기념비로 추정되는 고인돌. 지석묘.
내용

고인돌은 제3호 고인돌을 중심으로 6기가 방사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 고인돌들에는 후대인 1795년(정조 19)에서 1797년(정조 21) 사이에 경상감사로 재임중이던 이태영(李泰永)이 꿈속에서 북두칠성이 고인돌 자리에 떨어진 것을 보고 고인돌 덮개돌 위에 각기 일곱 아들의 이름을 새겨놓아 후손의 번영을 기원하였다는 일화가 전한다.

또한, 이 고인돌들을 ‘칠성암(七星巖)’으로 부르고 이후에도 토속적 신앙의 대상이 되어왔는데, 칠성동이라는 마을명칭도 여기에서 기원된 것이다.

1973년 경북대학교에서 발굴조사하였는데, 덮개돌의 크기는 제1호가 길이 3.2m, 너비 2.7m, 두께 1.3m이고, 제2호가 1.5×1.1×1.1m, 제3호가 1.8×1.4×1.7m, 제4호가 1.7×1.6×1.8m, 제5호가 2×1. 5×1.5m, 제6호가 2×0.8×1.2m, 제7호가 2×1.3×0.8m이다.

덮개돌 아래에는 굄돌이 없었고 지하 유구의 조사에서도 제1·2·5·7호에서 덮개돌 아래에 15∼30㎝의 돌무지[積石]가 있었을 뿐 제3·4·6호에서는 아무런 시설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들 고인돌에서는 부장품이 전혀 없었고 지하에서도 널의 시설이 발견되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보아 애초부터 무덤으로서의 성격보다는 거석기념비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대구 칠성동 지석묘 조사」(윤용진, 『대구사학』12·13합집, 1977)
「朝鮮支石墓の系譜に關する考察」(有光敎一, 『古代學』16合輯, 196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안승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