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시호탕 ()

목차
의약학
개념
발열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발열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내용

동한(東漢) 때 의가(醫家)인 장기(張機, 張仲景)가 편찬한 『상한론(傷寒論)』에 수록된 처방으로, 대략 3세기 초에 이루어졌으며, 송대(宋代) 이후에 많은 학자가 주석하여 많은 간행본과 주석본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동의보감』과 『방약합편(方藥合編)』에 수록되어 있다.

처방은 시호(柴胡) 15g, 황금(黃芩)·백작약(白芍藥) 각 9.37g, 대황(大黃) 7.5g, 지실(枳實) 5.62g, 반하(半夏) 3.75g, 생강 3쪽, 대추 2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물에 달여 복용한다.

임상에서 이 처방은 발열성 질환을 앓는 중에 열과 오한이 반복해서 오르내리며, 가슴 아랫부분이 답답하고 욕지기[惡心]·구토·초조·구고(口苦) 등의 병증이 생기고, 복부팽만감(腹部膨滿感)·복통·변비·설사 등을 수반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이 처방은 소시호탕(小柴胡湯)에서 보기(補氣)하는 인삼·감초를 빼고, 평간지통(平肝止痛)의 백작약, 기(氣)를 다스리는 지실, 사하(瀉下: 대장에 몰린 실열, 적체를 없앰)의 대황을 배합한 것이다. 또, 사역산(四逆散)에서 감초를 빼고 청열(淸熱)의 황금, 구역질을 진정시키는 반하, 사하의 대황, 위를 다스리는 생강과 대추를 가미한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염증이 심하고 고열·구고·인통(咽痛) 등이 있으면 금은화(金銀花)·연교(連翹)·포공영(蒲公英) 등의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약을, 황달(黃疸)과 노랑빛 설태(舌苔) 등 습(濕)과 열(熱)의 증후가 있으면 인진호(茵蔯蒿)·치자(梔子) 등을 배합한다. 복통이 심하면 천련자(川楝子)·현호색(玄胡索) 등을 배합하여 응용한다. 복부팽만감이 심하면 후박(厚朴)·목향(木香)·청피(靑皮) 등을 배합하여 응용한다.

참고문헌

『방약합편(方藥合編)』
『상한론(傷寒論)』
『천진처방해설(天眞處方解說)』(이상인, 성보사, 1987)
집필자
이상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