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룡탕 ()

목차
의약학
개념
외감풍습으로 오는 질병에 사용하는 처방. 마계석고탕.
이칭
이칭
마계석고탕(麻桂石膏湯)
목차
정의
외감풍습으로 오는 질병에 사용하는 처방. 마계석고탕.
내용

동한(東漢)의 장기(張機: 張仲景)가 3세기 초에 지은 『상한론(傷寒論)』에 처음 수록된 이래, 청대 왕앙(汪昻)의 『의방집해(醫方集解)』에 기록되어 임상에 응용되고 있는 처방이다.

처방 내용은 마황(麻黃) 5.62g, 계지(桂枝)·감초(甘草) 각 1.875g, 행인(杏仁) 40개, 석고(石膏) 계자대(鷄子大), 생강 300g, 대추[大棗] 12개로 구성되었고, 물로 달여 복용한다. 이 처방은 마황탕에 석고와 생강, 대추를 넣은 처방으로 마계석고탕(麻桂石膏湯)이라고도 한다.

임상응용으로는 땀을 내고(發汗解表), 열을 내리는(淸熱除煩) 효능이 있어 외감풍습(外感風濕)으로 인한 표실증(表實症)과 이열번조(裏熱煩燥)한 증상에 응용하고, 또한 풍습상박(風濕相搏)으로 인한 수종(水腫)을 치료한다.

처방 중 신온해표(辛溫解表)시키는 마황(麻黃)·계지(桂枝)와 청열제번(淸熱除煩)시키는 석고가 주약(主藥)이 되고, 기침과 담을 다스리는(止咳化痰) 행인, 화위(和胃)의 감초, 생강·대추로 구성되었다.

참고문헌

『상한론(傷寒論)』
『완역금궤요략(完譯金匱要略)』(박헌재, 서원당, 1978)
『傷寒論選讀』(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7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