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 )

목차
관련 정보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식물
지명
문화재
강원도 양구군 동부면 일부와 인제군 서화면 일부, 인제군 북면 일부를 포함하는 천연보호구역.
목차
정의
강원도 양구군 동부면 일부와 인제군 서화면 일부, 인제군 북면 일부를 포함하는 천연보호구역.
개설

1973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 30,743,940㎡. 펀치볼분지, 대우산·도솔산·대암산과 대암산 정상부에 있는 큰 용늪, 작은 용늪 등의 소택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자연적 특성

이 지역의 주릉(主稜)을 형성하는 봉우리들은 편마암을 기반암으로 하고 있는 점이 향로봉지역과 비슷하나 펀치볼지역의 지질적 조성, 대암산 정상부 일대의 소택(沼澤:늪과 못)형성 등은 우리 나라의 유일한 지형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펀치볼지대는 지름이 약 10㎞의 분지로서, 분지의 벽과 주변의 타원형 산릉(山稜)들은 편마암이 노출되어 있고 분지의 바닥은 화강암이 깔려 있다. 이것은 화강암이 편마암보다 침식에 대한 저항도가 약해서 선택침식으로 분지를 형성한 까닭이다.

대암산의 서북경사면에 있는 고지습원(高地濕原:높은 지대의 습기가 많은 초원)인 큰 용늪은 양쪽 측면으로부터 흙과 모래가 유입되어 퇴적물이 많이 쌓이게 되어 습원형성을 도왔다고 본다.

이 습원은 배수가 순조롭지 못해서 형성되었다는 점, 전형적인 고층습원에서 볼 수 있는 침엽수림이 아니고 낙엽활엽수림이 형성되었다는 점, 기후가 습원형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으로 보아 위고층습원(僞高層濕原: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은 고지대의 습원)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큰 용늪은 1,200∼1,300m의 고지에 있고 미분해상태의 이탄(泥炭:연대가 오래되지 않아서 탄화작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석탄)이 퇴적되어 있어서 지표수(地表水:지상으로 드러나 있는 물)의 수위를 높여 주고 있다.

이곳에 산재하는 소택의 수소이온농도(pH)는 5.8∼7.6이며, 마그네슘과 칼슘의 함량이 높다. 이것은 주변 숲의 부식물질이 분해과정에서 배출되는 것과 이탄 속의 미분해량이 합세한 까닭이다.

큰 용늪의 토양은 pH 4.4∼5.5를 보여주는데 이는 잔해유기물의 분해작용에 따른 것이다. 큰 용늪 주변의 식물상은 5문 5강 49목 63과 163종으로 구성된다. 큰 용늪 내의 우세종은 큰오이풀·삿갓사초이다. 끈끈이주걱·통발 등 식충식물이 물이끼와 함께 특수 군락(群落: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도 매우 이색적이다.

이 지역 내의 특수한 식물로는 비로용담·금강초롱·장백제비꽃·큰비단분취 등을 들 수 있다. 큰 용늪 내에서 자생하는 식물은 목본(木本)식물이 4과 6종이고 초본(草本:풀·꽃류)식물이 39과 47종이다.

큰 용늪의 이탄 속에 포함된 꽃가루를 분석한 결과, 표면에서 80㎝의 깊이에 걸쳐서 전나무·자작나무·떡갈나무·고사리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희귀 동물들도 많이 서식하여 대암산에서는 검독수리와 산양을 볼 수 있고 큰 용늪에는 도롱뇽과 무당개구리, 줄흰나비가 많이 살고 있다.

두타연에는 열목어·어름치 등 10여 종의 특산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펀치볼분지와 위고층습원이 있고 기상조건과 동식물상이 이색적이어서 특수한 생태계를 출현시키고 있으므로 잘 보호해야 할 학술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비무장지대인접지역종합학술조사보고서』(강영선, 문교부, 1975)
『문화재대관』-천연기념물편-(문화재관리국, 199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