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단련사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10도 12주 절도사체제 하의 지방관.
목차
정의
고려시대 10도 12주 절도사체제 하의 지방관.
내용

당나라에서는 안사(安史)의 난 이후 군사적인 절도사체제의 지방제도를 실시하였다. 983년(성종 2) 12목(牧)체제의 지방통치방식을 실시하고 있었던 고려가 995년 지방세력의 통제강화와 국방력의 강화를 위해 이 제도를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절도사를 두고, 이보다 작은 주에는 도단련사·단련사·자사(刺使)·방어사(防禦使)를 설치해 군사적인 절도사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도단련사는 이러한 배경에서 설치되었다.

도단련사가 설치된 지역은 관내도(關內道)에 수주(水州 : 지금의 경기도 수원), 하남도(河南道)에 운주(運州 :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환주(懽州 : 지금의 충청남도 천안), 영남도(嶺南道)에 대주(岱州 :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강주(剛州 :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 산남도(山南道)에 허주(許州 : 지금의 경상남도 함양), 해양도(海陽道)에 담주(潭州 : 지금의 전라남도 담양) 등의 7주이다.

그 중 운주와 환주가 태조 때 중앙군이 배치되었던 군사적 요지였다는 것을 감안할 때, 도단련사는 군사적 성격이 강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으로 보아, 995년에 설치된 지방제도는 군사적 색채가 농후했음을 알 수 있다. 995년 지방제도가 군사적 색채를 띠게 된 것을 거란의 침입에 대비한 것이었다.

도단련사는 1005년(목종 8) 절도사만 남기고 관찰사·단련사·자사 등을 모두 혁파할 때 함께 혁파되었다. 그 뒤, 1012년(현종 3) 12주 절도사가 폐지된 뒤부터 1018년에 이르기까지 도단련사가 설치된 지역 중 강주가 안동부, 담주가 나주목의 속읍이 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5주는 모두 지주부사(知州府事)가 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것은 군사적인 절도사체제가 붕괴되고 민사적인 목·지주군사(知州郡事)·현령체제로 개편되어가는 과정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전기(高麗前期)의 외관제(外官制)」(변태섭,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 2, 1968; 『고려정치제도사연구(高麗政治制度史硏究)』, 1977)
「고려지방제도(高麗地方制度)의 정비(整備)와 주현군(州縣軍)의 성립(成立)」(이기백, 『효성조명기박사화갑기념불교사학논총』, 1965; 『고려병제사연구(高麗兵制史硏究)』, 1977)
집필자
김윤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