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사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양계(兩界) 지역에 설치된 지방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양계(兩界) 지역에 설치된 지방관직.
개설

원래 방어사는 당(唐)나라에서 안사(安史)의 난(亂) 이후 군사적인 절도사 체제의 지방제도를 실시했을 때 두어진 것이다. 고려는 995년(성종 14) 지방세력의 통제강화와 국방력의 강화를 위해 시행되었다.

내용

983년의 12 목(牧)을 개편해 절도사를 두고, 이보다 작은 · 군(州 · 郡)에 도단련사(都團練使) · 단련사 · 자사(刺史) · 방어사를 설치한 것이 처음이다.

방어사가 설치된 지역은 관내도(關內道)염주(塩州 : 황해도 연안) · 안주(安州 : 지금의 재령) · 봉주(鳳州 : 지금의 봉산) · 신주(信州 : 지금의 신천) · 평주(平州 : 지금의 평산) · 동주(洞州 : 지금의 서흥) · 곡주(谷州 : 지금의 곡산), 삭방도(朔方道)에 고주(高州 : 강원도 고성) · 용주(湧州 : 함경남도 덕원) · 문주(文州 : 지금의 문천) 등이다.

패서도(浿西道)에 운주(雲州 : 지금의 평안북도 운산) · 연주(延州 : 황해도 연산) · 박주(博州 : 평안북도 박천) · 가주(嘉州 : 박천군 가산) · 무주(撫州 : 지금의 영변) · 순주(順州 : 평안남도 순천) · 태주(泰州 : 평안북도 태천) · 은주(殷州 : 평안남도 순천군 은산) · 숙주(肅州 : 지금의  숙천) 등이다.

그러나 패서도의 경우, 태주는 광종 21년(970), 순주 · 은주 · 숙주 · 가주는 성종 2년(983)에 방어사의 존재가 이미 나타난다. 방어사가 임명된 지역은 대체로 예성강, 원산만 이북이므로 국방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변천

1005년(목종 8)에 도단련사 · 단련사 · 자사 등을 혁파했을 때, 관내도의 방어사는 대부분 혁파되었지만 동계 · 북계에는 단련사만이 폐지되고 방어사는 대부분 그대로 남는다.

그 뒤 1018년(현종 9)에는 서해도에서 5개 방어사 주를 폐지하는 반면, 북계에는 8개 방어사 주를 신설하고, 경상도 지역에 울주 · 예주 · 금주 · 양주 등 4개 방어사 주를 신설하였다. 양계 지역에서는 그 뒤 계속해서 방어사가 증가해 갔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정치제도사연구(高麗政治制度史硏究)』(변태섭, 일조각, 1971)
「고려전기(高麗前期)의 외관제(外官制)」(변태섭,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 2, 1968)
「고려(高麗)의 군현제도(郡縣制度)와 지방통치정책(地方統治政策)」(이희권, 『고려사(高麗史)의 제문제(諸問題)』, 삼영사, 1986)
「고려지방제도(高麗地方制度)의 정비(整備)와 주현군(州縣軍)의 성립(成立)」(이기백, 『조명기박사화갑기념불교사학논총(趙明基博士華甲記念佛敎史學論叢)』, 1965 ; 『고려병제사연구(高麗兵制史硏究)』,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