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교통공단 ()

도로교통공단 / 공단본부
도로교통공단 / 공단본부
교통
단체
도로교통의 안전을 꾀하는 경찰청 산하 준정부기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도로교통의 안전을 꾀하는 경찰청 산하 준정부기관.
연원 및 변천

도로교통의 위해방지를 위하여 도로 이용자의 질서의식을 높이는 데 필요한 계몽홍보와 운전자에게 교통안전교육과 기술개발 연구로써 도로교통안전에 이바지하는 데 목적을 두고 1954년 2월 대한교통안전협회로 설립되었다.

급성장하는 산업사회의 추세에 따라 우리나라에 자동차문화가 이뤄지게 되자, 자동차의 증가는 쾌적성을 제공하는 기능적 이점과 함께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가져오는 역기능적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더욱이 최근에는 사고의 대형화와 광역화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전국적으로 합리적 교통안전운동을 강력히 확산하여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순수한 민간전문기구로서 1980년 1월 공포된 「도로교통법」 중 개정법률에 의하여 그 해 5월 특수법인 도로교통안전협회로 확대, 발전하여 부설 도로교통안전연구소를 두어 도로교통안전에 관한 전문기관의 면모를 갖추고, 사업에 내실을 기하게 되었다. 1999년 1월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으로 개칭되었다.

2008년 6월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이 도로교통공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후 2011년 1월에 운전면허시험관리단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2015년 11월에 강원도 원주 혁신도시(강원도 원주시 혁신로 2)로 이전하였으며 각 시도별로 13개 지부, 11개 지방 교통방송, 27개 운전면허시험장이 있다. 공단 산하에 교통과학연구원을 두고 있다.

2024년 1월 30일 공단의 사업과 기관 운영 사항 등이 담긴 한국도로교통공단법이 제정되고 동년 7월 31일 시행됨에 따라 그 시행일에 맞추어 기관 명칭을 한국도로교통공단으로 변경하고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재 공단본부에서 제막식을 개최했다. 공단은 이로써 독자적인 설립법에 근거한 법률적 지위를 얻게 되었다.

기능과 역할

도로교통공단이 기능하는 주요 부문은 교육 · 홍보 · 안전 · 연구 · 방송 · 운전면허관리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교육사업으로는 교통소양교육 대상자(교통법규 위반자 · 주취 운전자 · 교통사고 야기자), 노인, 녹색어머니, 사회단체, 그리고 청소년에 대한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위해 시사성 있는 교재를 개발하고 있다.

홍보사업으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매스컴을 통한 홍보, 간행물의 발간, 행사를 통한 홍보, 영상물 제작 홍보, 홍보 선전 등 시설물을 통한 홍보, 그밖에 교통안전장구 지원과 이동홍보 활동 등이 있다.

안전사업으로는 교통안전 지원업무의 정착을 위해 교통사고 종합분석센터를 설치하여 교통사고 잦은 곳의 개선방안을 수립하고, 사고와 관련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아울러 교통사고 및 안전시설에 대한 기술지원, 전자교통신호체계의 설계, 감리, 운영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사업으로는 교통안전기술의 개발, 안전대책 조사연구, 교통신호기 및 안전표지에 관한 연구와 개발, 첨단교통기술 도입 및 국제교류, 교통안전 기술지원 및 보급 등이 있다.

방송사업으로는 지역실정에 맞는 신속,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하여 원활한 교통소통과 사고를 예방하고, 교통안전과 질서의식의 지속적인 계몽 홍보로 선진 교통문화 정착과 국민생활의 편익을 도모하고 있다.

운전면허관리로는 운전면허시험 관리, 운전면허 정기 · 수시 적성검사, 운전면허증 발급 · 갱신, 운전전문학원 강사 및 기능검정원 자격관리 등도 수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도로교통공단(www.koroad.or.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