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상봉 ()

회화
인물
해방 이후 「한정」 · 「고궁」 · 「이조백자」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이칭
이칭
도천(陶泉)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2년 1월 6일
사망 연도
1977년 10월 19일
출생지
함경남도 홍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한정」 · 「고궁」 · 「이조백자」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개설

호는 도천(陶泉). 함경남도 홍원의 부유한 가정에서 출생하였다. 1916년 보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고희동(高羲東)으로부터 유화를 배웠다. 1921년 일본에 건너가 처음에는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법과에 들어갔으나, 1923년 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서양화과에 입학하여 1927년 졸업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도쿄미술학교 졸업 후 연수과에 남아 연구를 계속하던 도상봉은 1928년 귀국하였다. 도상봉은 도쿄미술학교에서 근대 일본풍의 아카데미즘 양식을 공부하고 돌아왔음에도 불구하고 도쿄미술학교 출신들이 활약하고 있던 조선미술전람회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1930년 경신고등보통학교 미술교사를 시작으로 배화여자고등학교, 경기여자중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1948년에는 숙명여자대학교 미술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러나 1949년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 추천작가 및 심사위원이 되면서 직장생활을 그만두고 의욕적으로 작품제작에만 몰두하기 시작하였고, 1955년부터 대한미술협회 위원장을 역임한 것을 비롯하여, 예술원 회원,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국전 운영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미술계 제도권의 중심인물로 활약하였다.

1950년대 이후 정물화와 인물화를 잇달아 제작하면서 자신의 회화세계를 구축하였고, 이 무렵부터 애장하던 조선시대 백자 항아리를 소재로 여러 가지 꽃이 놓인 정물화를 즐겨 그리기 시작했다.

1930년대부터 말년까지 그가 주로 다룬 소재는 고궁의 풍경과 백자 또는 전통적인 기물(器物)이 중심이 된 정물로 압축된다. 이밖에 해안 풍경이나 인물도 등장하기는 하나 극히 예외적이다. 1933년 작인 「성균관 풍경」(국립현대미술관 소장)을 비롯하여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의 백자와 라일락을 소재로 다룬 정물은 우리나라 고유의 정감을 화폭에 담으려는 깊은 관조(觀照)를 보여 준다.

전통적인 소재에 대한 애착, 차분히 가라앉은 은은한 색조, 부드러운 필치 등을 통해 섬세하고 온화한 화풍을 이룩하였고, 아카데믹한 자연주의 계열의 작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대표작으로 「한정(閑靜)」(1949), 「고궁(古宮)」(1953), 「안개꽃」(1971), 「이조백자」(1972)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미술계에 끼친 공로로 1961년 3 · 1 문화상, 1964년 예술원상, 1968년 대통령표창, 1970년 국민훈장 모란장, 1970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등을 받았다. 1987년 현대화랑에서 『10주기 회고전』이 열렸으며, 2002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균형과 조화의 미학-도천 도상봉 탄신 100주년 기념전』이 개최되었다.

참고문헌

『도상봉』(국립현대미술관, 에이엔에이, 2002)
『한국현대미술사』(오광수, 열화당, 1979)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