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화 석호고성 ( )

고대사
유적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敦化市) 관지진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토축 성곽. 평지성 · 성곽터.
정의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敦化市) 관지진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토축 성곽. 평지성 · 성곽터.
개설

돈화 석호고성은 관지진 팔과수촌(八棵樹村)에서 서남쪽으로 약 500m 떨어져 있는 지세가 평탄하고 넓게 트인 평원 위에 자리하고 있다. 동남쪽으로 약 1.5㎞ 떨어진 곳에는 ‘요령자(腰嶺子)’로 불리는 낮은 산이 있고, 서남쪽으로 약 2㎞ 떨어진 곳에는 사하(沙河)가 흐르고 있다. 사하의 동쪽 기슭에 석호(石湖)로 불리는 돌로 쌓아 만든 못〔石潭〕이 하나 있는데 성터의 이름은 바로 여기서 유래되었다. 현재 돈화시급중점문물보호단위(敦化市級重點文物保護單位)로 지정되어 있다.

내용

성터는 네모모양〔方形〕이며 남쪽을 향해 있다. 성벽은 토축(土築)으로 구축되었는데, 네 방향의 성벽은 각각 470m이며 전체 둘레는 1.88㎞에 이른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높이는 동벽, 남벽이 각각 1.5m, 서벽 80㎝, 북벽 2.0m이며, 성벽 너비는 6∼9m이다. 그 가운데 남벽 가운데 지점에는 너비 6m의 남문터가 있는데, 양쪽 문벽의 기초로 사용한 석재가 남아 있다. 또한 북벽 서북 모서리에서 60m 떨어진 지점에는 너비 5m의 북문터가 남아 있다. 성 밖으로는 해자가 성의 남쪽과 동쪽, 북쪽 3면을 둘러싸고 있으나, 서벽 밖은 지세가 약간 높고 해자의 흔적이 남아 있지 않다. 성터 서북쪽 모서리에는 배수구 1개가 나 있는데, 북벽을 통과하여 성 밖 해자와 연결된다. 성안은 오랫동안 경작지로 사용되어 파괴 정도가 심한 편이며, 현재 남아 있는 유물은 많지 않다. 발견된 유물로는 기간석(旗竿石), 토대(土臺), 회색 질그릇조각 등이 있다.

이밖에도 성터에서 남쪽으로 500m 떨어져 있는 지대가 약간 높은 곳에는 좁은 대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여기에 작은 성이 하나 남아 있다. 한 변 길이 47m, 너비 43m로 평면 형태는 역시 네모모양이며, 성벽 높이는 약 1m, 너비는 약 5m이다. 이 가운데 남벽은 대부분 평평하게 변하였다. 이 성의 용도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의의와 평가

석호고성은 돈화시에서 확인된 성곽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평지성(平地城)이다. 이 성은 오동성(敖東城)이 있는 돈화와 발해 상경성(上京城)이 있는 영안 지역을 이어주는 주요 교통로상의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특히 서남쪽으로 약 3㎞ 떨어져 있는 통구령산성(通溝嶺山城)과 함께 관지진 일대의 교통로를 통제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王禹浪·王宏北 編著, 哈爾濱出版社, 1994)
「石湖古城」(吉林省文物志編委會 主編,『敦化市文物志』, 1985)
「吉林敦化牡丹江上游渤海遺址調査記」(王承禮,『考古』1962年 11期)
집필자
정원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