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동 ()

목차
관련 정보
동동의 작품해설
동동의 작품해설
고전시가
작품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목차
정의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내용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고려시대에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조선시대에 문자로 정착된 듯하다. 가사는 한글로 ≪악학궤범≫에, 작품해설은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각각 실려 있다. 내용에 남녀간의 애정을 그린 것이 많다 하여 고려시대의 속요(俗謠)로 보는 견해가 다수이다.

고려시대부터 이 노래는 아박(牙拍 : 고려시대 궁중무용의 하나)의 반주가로 불리었다. 노래 형식은 전편 13장으로 된 연장체(聯章體)로, 첫머리의 서장(序章)을 제외하고는 달거리[月令體]로 되어 있다.

민요의 달거리는 달마다 세시풍속을 노래의 배경으로 삼고 있는데, 보통 1월은 답교(踏橋), 2월은 연등, 5월은 단오가 그 배경이다. 이 점은 <동동>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동동>은 세시풍속이 달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달은 확실히 드러나 있고 어떤 달은 무엇을 노래하는지 불확실한 것도 있다.

이 작품에서 2월은 연등, 5월은 단오, 6월은 유두, 7월은 백중, 8월은 추석, 9월은 중양을 각각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1월은 답교(踏橋), 3월은 산화(散花), 12월은 나례(儺禮)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만 할 뿐이다.

<동동>은 본디 정초에 그해 매달의 운수를 점쳐보는 달불이[月滋 : 콩에 일년의 각 달을 표시하고 수수깡 속에 넣어 우물 속에 집어넣은 뒤 대보름날 새벽에 건져 그 불어 있는 정도로 그해 매달의 운수를 점치는 민속]처럼 그 달의 운수를 점치는 월운제의(月運祭儀)였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즉, 고려 때 해마다의 국가행사였던 팔관회에서 월운제의를 하며 <동동>을 불렀으리라는 것이다.

이 월운제의의 목적은 풍요를 기원하는 데 있었으므로, 한편으로는 신을 찬송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신에게 기도하는 송도(頌禱)·송축(頌祝)의 내용이 주가 되었을 것이다. ≪고려사≫에 “동동에는 송도의 말이 많다.”(권71), “선풍(仙風)은 용천(龍天)을 기쁘게 하고 민물(民物)을 안녕하게 한다.”(권18)라고 한 두 기록은 이러한 의미로 풀이될 수 있다.

제1장에서는 ‘곰배·님배’를 대상으로 덕(德)과 복(福)을 송축하고 있다. 제2장 이하의 달거리에서는 ‘님’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정월이 되어 얼었다 녹았다 하는 변화를 겪는 냇물과 변함없이 임이 없어 고독하기만 한 자신을 대조시키고 있다. 제3장에서는 임을 연등의 등불에 비유하여 ‘만인(萬人) 비치실 모습이로다’라고, 제4장에서는 임을 진달래에 비유하여 ‘남이 부러워할 모습을 지니고 나셨다’라고 하면서 임의 아름다움을 찬송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여름이 시작되는 4월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꾀꼬리와 임을 비유하여, 임이 찾아주지 않는 자신의 처지를 노래하였다. 제6장에서는 단옷날 아침에 빚은 약을 임에게 바치면서 ‘천년토록 오래 사시게 할 약이라 바치옵니다’라고 임의 행복을 기원하고 있다.

제7장에서는 유둣날 임을 따라가면서 ‘돌아보실 임을 적곰(넘어지며 엎어지며) 좇아 가옵니다’라고 노래하고 있다. 제8장에서는 백중날 여러 음식을 차려놓고 ‘임과 함께 살아가고자 소원을 비옵니다’라 노래하고 있다. 제9장에서는 한가위를 임과 함께 맞이하면서 ‘임을 모시고 가서 노니 오늘이 한가위로다’라고 임과의 행복을 노래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제11·12장에서는 제2·5장과 마찬가지로 임을 잃은 고독을 노래하고 있다. 제11장에서는 꺾이어 버려져 아무도 돌보지 않는 보로쇠에다 자기 신세를 견주어 외로움을 노래하고 있다. 제12장에서는 그 외로움이 한층 처절해진다. 동짓달 봉당자리에 한삼을 덮고 누워 추위에 떨면서도 ‘고운 임 생각하며 살아가네’라고 하며 그리움에 몸부림치고 있다.

<동동>의 성격에 대해서는 민요, 귀신을 물리치는 벽사진경(辟邪進慶)의 제의가로 보는 견해, 남녀간의 사랑을 노래한 서정시가로 보는 견해 등 여러 견해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 작품이 지닌 복합적 성격에서 오는 것이다. <동동>은 본래 민속과 관련된 단순한 민요 혹은 제의 때 부르던 노래였던 것이 궁중악으로 채택되면서 서정적인 노래로 변모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동동’이라는 제목은 매장마다 되풀이되는 후렴구 “아으 동동 다리”에서 따온 것이다. ‘동동’은 북소리의 구음(口音) ‘동동’을 표기한 것이라는 견해와 ‘다리’·‘두리’ 등과 같이 ‘영(靈)’을 뜻하는 주술 용어일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참고문헌

『여요전주』(양주동, 을유문화사, 1947)
『향가여요신석』(지헌영, 정음사, 1947)
『고가요주석』(김형규, 일조각, 1968)
『국문학과 자연』(최진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1)
「고려가요 동동고」(임기중, 『고려가요연구』, 정음사, 1979)
「동동의 해석」(임동권,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서정적 맥락 속의 동동 정월요」(김열규,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어우름의 서정과 엇갈림의 서정」(김동욱, 『성대문학』 24, 성균관대학교국어국문학회, 198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진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