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도 ()

목차
관련 정보
동인경 / 침구도
동인경 / 침구도
의약학
유물
인체의 경혈을 그림으로 표시한 의료용 인체해부도.
목차
정의
인체의 경혈을 그림으로 표시한 의료용 인체해부도.
내용

우리 몸의 오장육부에 생긴 병이 신체의 외부에 나타나는 자리를 한의학에서는 보통 경락(經絡)이라 하고, 이곳을 침이나 뜸으로 자극함으로써 병을 치료한다. 그리고 이 오장육부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침을 놓거나 뜸을 뜨는 자리를 그림으로 표시해놓은 인체도를 동인도라 하였다.

이 동인도는 몇 가지 다른 이름으로도 불렸는데, 예를 들면 침과 뜸을 뜨는 자리를 그린 것이라 하여 침구도(鍼灸圖), 침 놓을 자리 즉 경혈을 표시한 것이라 하여 경혈도(經穴圖), 경락을 그려놓은 것이기 때문에 경락도(經絡圖), 인체의 명당 자리에 침구를 놓는다 하여 명당도(明堂圖)라고도 불린다.

최초의 기록은 고구려 평원왕 3년(561) 때 고구려에 와 있던 중국오(吳)나라의 지총(知聰)이 일본으로 귀화할 때 가지고 간 의서(醫書) 등 164권의 책 가운데 명당도(明堂圖)가 끼어 있었다고 한다. 그 뒤 고구려 승려 안작득지(鞍作得志)가 645년 일본에 침술을 전했으며, 선덕여왕 때 일본인이 신라로 건너와 침구술을 배우고 돌아가 침박사가 되었다는 기록들로 보아 동인도의 보급도 함께 행하여 졌을 것이 확실하다.

고려시대 과거제도 중 의학 분야는 1136년(인종 14)에 의업(醫業)과 주금업(呪禁業:고려때 시험 중 잡과의 한 과목)으로 더욱 세분되었는데, 둘 다 침구와 관계되는 명당경(明堂經)·침경(鍼經)·맥경(脈經) 등이 시험과목으로 포함되어 있는 점이라든가, 조선시대 왕실에서 구리로 사람 모양을 만들고 여기에 경락과 경혈을 표시해놓은 소위 동인(銅人)을 제작하여 의학교육 보조재료로 쓰였던 점을 감안해 볼 때 동인도의 발달은 상당한 수준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존하는 동인도는 목판본과 필사본의 두 가지가 전해지며, 필사본 중에는 채색된 것도 있다. 몸의 앞면·뒷면 혹은 앞뒤 측면을 한 조로 한 것이 보편적이지만, 보다 자세한 것은 전후, 좌우, 측면의 경락과 경혈을 각기 따로 한장씩 그린 것도 전한다. 휴대용 동인도는 부피가 작고 쉽게 펴볼 수 있도록 병풍식 혹은 딱지식으로 접은 것도 있다. 대개 벽에 걸어놓고 보도록 만든 것이 주종을 이룬다. 현재에도 침구교육용으로 쓰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학사』(김두종, 탐구당, 197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쾌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