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자집 (ㅁ집)

목차
관련 정보
세종 부강리 고택 전경
세종 부강리 고택 전경
주생활
개념
안마당을 중심으로 방들이 ㅁ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지붕이 모두 연결된 연결된. 미음자집.
이칭
이칭
미음자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안마당을 중심으로 방들이 ㅁ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지붕이 모두 연결된 연결된. 미음자집.
내용

평면의 구성은 거의 공통적이나 지방에 따라서 약간씩 다르다.

ㅁ자집의 대표적인 것은 ㄱ자집의 간살을 기본으로 하는 집과 一자집을 기본으로 하는 집이 있다. 또 넓게는 경상북도 내륙지방의 뜰집, 경기도 서해안지역의 똬리집도 ㅁ자집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안쪽 중앙에 마루를 배치하고 그 서쪽 옆에 세로로 안방과 부엌이 ㄱ자로 꺾여 놓인다. 마루 동쪽 옆에는 건넌방이 시설되고 그 앞으로 꺾이면서 사랑방과 사랑부엌이 붙여진다.

구조는 간단해서 모두 3량집으로 처리하는데 이것은 고전적인 방식이며, 근래에는 1고주 5량집이 많다. 이러한 집의 형태는 경기도 북부 해안지대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대청의 전면은 문을 일체 달지 않은 채 개방되며 뒤쪽에는 안방 쪽에만 시설된다. 부엌 안의 벽장은 부뚜막 위에 설치되며 부뚜막 앞은 불을 땔 수 있게 부엌 바닥보다 낮다. 부엌 남쪽 칸 서쪽 벽에는 붙박이 찬장이 시설된다.

광은 안마당 쪽으로 문이 나 있어서 부엌 쪽으로 문이 나는 ㄱ자집과는 다르다. 따라서 그 이름도 부엌광이 아니고 광이라 부르고 있다. 또 이러한 평면의 집에는 나뭇간이 없고 외양간·대문간·사랑부엌은 외부벽만 시설될 뿐 내벽은 안으로 개방된다.

구유는 안마당 쪽에 길게 설치되고 출입은 대문간 쪽에서 할 수 있게 한다. 사랑방의 주출입문은 외부 바깥마당 쪽으로 나며 문 앞에는 쪽마루가 시설된다.

집안으로의 출입은 사랑부엌 쪽으로 하며 건넌방과의 사이에는 출입구가 없다. 건넌방은 마루와 사랑방 사이에 놓이는데, 출입구는 마루와 안마당 쪽에만 시설된다. 안마당은 처마끝 안으로 뜰돌을 두른다. 안방 뒤에는 쪽마루를 놓아서 뒤꼍 마당에서의 이용을 돕고 있다.

집의 전면은 다른 집으로 통하는 길로 이용되며, 사랑방 앞에는 큰 공간을 두어서 바깥마당이라고 부르는데 이곳 역시 길의 일부로 이용된다. 따라서 이 집에는 담장이 없이 외벽이 바로 외부에 접하는데, 다만 부엌과 안방 뒤에만 담장을 둘러서 외부로부터의 시선을 차단하여 뒤뜰을 만든다.

이러한 공간은 사대부집에서 주로 이용되었으며 고전적 기법에 속한다. 뒤뜰에는 뒤채라고 부르는 집이 있는데 볏광과 광이 놓인다.

안쪽 복판에 안방과 윗방을 통칸으로 놓고 그 앞에 툇마루를 두며, 서쪽으로 부엌과 동쪽으로 대청·건넌방이 배치된다. 건넌방 앞에서 ㄱ자 모양으로 꺾어져 헛간과 겸하여 쓰는 딴방부엌과 두칸 크기의 광이 차례로 배열된다.

부엌 앞에는 큰 대문간이 설치되고 그 앞에 아랫사랑방과 윗사랑방이 배치되는데, 사랑방들의 서편 바깥쪽에는 툇마루가 시설된다. 윗사랑에서 다시 꺾어져 대문간과 문간방이 시설되며 이것이 안채의 광과 연결되어 ㅁ자를 이룬다.

이러한 평면의 집에는 안마당과 바깥마당 및 뒤뜰이 고루 갖추어져 있는 것이 보통이고 골방과 벽장은 어느 집에나 있으며 대문도 이중으로 시설된다.

안채 곁에는 외양간과 헛간이 있는 앞채를 따로 지어서 집 전체의 모양이 ㅁ자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외양간을 몸채 안에다 설치하는 경우도 자주 있다. 이 형태의 집은 별로 많지 않으며 경기도지방에서 떨어진 서북부 및 경상도지방의 상류계층 집에서 볼 수 있다.

집 가운데에 안뜰을 두어서 전체적으로 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집이다. 중부지방의 ㅁ자집에 비하여 평면상 몇 가지 구별되는 점이 있다.

즉, 몸채의 기본꼴은 ㅁ자 모양인데 전면 사랑채를 좌우로 약간 길게 하여 이것을 앞으로 면하게 하고 있다. 큰부엌은 상하 두 칸인데 ㅁ자 모양의 서쪽 아래편에 마련된다. 큰부엌에서 외측 벽으로 꺾어진 곳에 상방이 놓이고 뒤쪽으로는 칸 반 크기의 안방이 이어진다.

안방의 윗목 끝에는 물건을 넣어두기 위한 골방이 따로 배치되고 큰마루는 골방 끝에서 동쪽으로 구부러진 곳에 놓인다. 큰마루의 머리편에 건넌방이 만들어지며 건넌방에서 앞으로 꺾어진 곳에 고방이 시설되는 데 상하층으로 나누어 위층은 다락으로 이용된다.

다락은 뜰 쪽에 사다리를 놓아서 출입하고 다락과 고방의 바닥은 모두 우물마루를 깐다. 고방에 이어 뜰방이 놓이고 뜰방과 직각을 이루는 곳에 사랑이 마련되는데, 사랑마루는 ㅁ자에서 외측으로 삐죽 내밀어 시설되고 사랑방은 복판에 놓인다.

사랑방과 큰부엌 사이는 중대문간인데 사랑에 불을 지필 수 있는 아궁이가 시설되어 있다. 행랑채에는 중앙에 한 칸 크기의 대문이 설치되고 그 서쪽으로는 마구와 헛간이 배열되며 동쪽으로는 행랑방과 헛간 및 반 칸 크기의 뒷간이 차례로 마련된다.

안채와 행랑채의 중간에 있는 공간을 마당이라고 부르는데, 이곳은 작업공간으로 쓰거나 정원으로 가꾸기도 한다. 안채는 모두 기와집이지만 행랑채는 초가인 경우도 많다. 분포지역은 주로 안동문화권으로서 경상북도 내륙지방의 상류계층 집으로 이용된다.

ㅁ자집의 규모가 최소로 축소된 집으로 평면구성은 사방집의 가운데 공청 부분이 없어져서 지붕이 뚫어진 형태와 유사하다. 평면의 구성은 바깥쪽 가운데에 문간을 놓고 서쪽에 부엌광을 시설한다.

여기서 뒤로 꺾어져서 부엌과 안방을, 다시 구부러져서 중앙에 대청을 놓고 그 머리 쪽에 건넌방을 둔다. 이 앞으로 꺾어져서 헛간과 사랑방이 있고 되돌아서면 문간이 되는 순서이다. 복판의 지붕이 개방된 공간은 봉당이 된다. 따라서 3칸×3칸의 9칸에 중앙 봉당 부분이 개방된 8칸집이 되는 것이다.

이보다 규모가 좀더 커지면 4칸×4칸의 12칸집이 된다. 평면의 간살이는 뒤쪽 중앙 2칸에 앞퇴를 달아내서 마루로 쓰고, 그 왼쪽에는 칸 반 크기의 안방이, 꺾어진 앞에는 역시 앞퇴가 있는 칸 반 크기의 부엌이 배치된다. 그 앞에는 한 칸 크기의 부엌광과 반칸의 나뭇간이 배열된다.

대청의 오른쪽에는 한 칸 크기의 건넌방이, 그 앞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반 칸 크기의 벽장(위)과 아궁이(아래)가 시설된다. 꺾어져서 반 칸은 통로로 이용되는 뒤꼍길이 된다. 그 앞은 상부에 다락이 만들어진 헛간방과 한 칸의 사랑방이 차례로 배치된다.

다시 돌아와서 나뭇간과의 사이에 칸 반 크기의 대문간이 놓이는데, 대문은 오른쪽 칸에 나 있고 왼쪽 반 칸은 물건을 넣어두는 둘곳으로 이용된다. 이들 방이 이루는 안의 마당은 봉당이라고 부른다.

이 집의 간살이는 7칸 ㄱ자집을 기본으로 여기에 헛간과 사랑방 및 대문간을 덧달아서 ㅁ자를 만든 모양이다. 이러한 집들의 방위는 정남향이 많고, 구조는 조금 복잡해서 대청 위는 고주 5량이 되고, 부엌 상부는 평 4량이 되며 나머지는 맞걸이 3량이 된다. 뒤꼍길은 뒤꼍으로 가는 통로가 되며 건넌방에 불을 넣을 때 땔감을 임시로 놓아두는 둘곳의 구실을 겸한다.

이곳은 봉당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뒤로는 문을 달았다. 사랑방은 출입문이 외부로 나 있어서 동선관계가 외부와 밀접한 곳임을 알 수 있다.

봉당은 그 안에 네모지게 낮은 뜰돌을 돌리고 배수가 잘 되도록 하수구 시설이 되어 있다. 또 부엌 대문 앞쪽에 개수대가 놓여 있어서 부엌 물을 버리기에 편리하게 되어 있다. 상부에는 지붕이 없어서 햇빛이 대청 안까지 들어온다. 이와 같은 형태의 집은 그리 흔하지 않은 편이며 개성으로부터 강화에 이르는 서해안지방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한국의 주거민속지』(김광언, 민음사, 198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