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통집 (집)

목차
관련 정보
주생활
개념
한 용마루 아래에 앞뒤로 방을 꾸민 주택.
내용 요약

양통집은 한 용마루 아래에 앞뒤로 방을 꾸민 주택이다. 함경도에서부터 태백산맥 줄기를 따라 내려오면서 동해안·안동 지역 등에 주로 분포한다. 방이 겹으로 배열되고 외양간·방앗간·고방 등의 경영 시설이 몸채 안에 붙여지는 구성이다. 양통집의 유형은 부엌과 방 사이에 둔 정주간의 여부에 따라서 나눌 수 있다. 정주간이 있는 양통집은 함경남북도에 분포한다. 정주간이 없는 곳은 태백산맥 동쪽 지역 및 소백산맥 중심의 산간 지대 등이다. 양통집은 방을 두 줄로 배치함으로써 그 칸막이 벽이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고려한 것이다.

목차
정의
한 용마루 아래에 앞뒤로 방을 꾸민 주택.
내용

함경도 지방에서부터 태백산맥 줄기를 따라 내려오면서 동해안 지방 · 안동 지역 등에 분포하며 드물게는 경기도 서해안까지 퍼져 있다. 평면의 구성은 방이 겹으로 배열되고 외양간 · 방앗간 · 주7 등의 경영시설이 안(몸채 안)에 붙여지고 있다.

함경도 지방의 양통집은 정주간이 마련되는 등의 특징이 있다. 양통집의 유형은 정주간이 있고 없음에 따라서 크게 둘로 나누어볼 수 있다. 정주간이 없는 양통집은 주로 강원도, 황해도광주산맥 주변, 경기도 일대 및 안동과 영동지방, 즉 태백산맥 동쪽지역 및 소백산맥 중심의 산간지대에 분포한다.

정주간이 있는 양통집은 함경남북도에 분포한다. 양통집에 있는 주4마루는 그 형태가 ㄱ자집의 대청마루와 같고, 특히 주8의 공청마루와는 더욱 유사하다. 즉, 대청 · 공청 · 봉당마루 등의 각종 마루는 방의 배열에 따른 형태가 좀 다를 뿐 그 기능은 거의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통집 가운데서도 외양간이 문채 안에 있지 않고 부엌 앞의 처마 밑에 시설되는 집이 있다. 이렇게 되면 평면의 모양이 마치 외통집의 ㄱ자집과 비슷하게 된다. 외양간이 몸채 밖에 따로 마련되고 그 자리에 아랫방을 두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외통형 곱은자집에서의 건넌방과 비슷한 구실을 하게 된다.

양통집은 다른 지방의 소농들의 집에 비해서 비교적 크므로 땅이 메마른 곳에서 자영농들이 이용하는 집이었음을 말해준다. 양통집은 규모에 따라 6칸, 8칸, 10칸 이상의 집으로 구분되며, 다음에 그 대표적인 몇 가지 예만 살펴보기로 한다.

(1) 6칸양통집

정면 3칸, 측면 2칸 집으로서 평면의 모양 · 구조 및 뼈대의 기법이 양통집의 표준 형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집에서는 소작 겸 자작을 할 수 있는 소농이 산다. 평면의 형태가 긴 네모꼴로 긴 변을 전면으로 한다. 구조는 3평주5량이 보통이고 지붕은 초가에 주2을 둔다.

이것은 주3의 구조보다 기술적으로 어렵고 빗물처리가 쉽지 않지만, 모임지붕의 구조상의 결함을 해결하고 부엌의 연기가 빠질 수 있는 환기구멍을 내주기 때문이다. 6칸집의 평면간살이는 크게 구들을 복판에 두는 영동지방의 방식과 한쪽에 두는 안동지역 방식으로 구분된다.

① 영동형 : 간잡이는 서쪽 상하 두 칸을 부엌으로 쓰고 가운데는 앞쪽에 봉당마루를 뒤쪽에 안방을 놓으며, 동쪽은 앞으로 사랑방, 뒤로 도장을 배치한다. 이 집이 변형되면 마루 대신에 구들이 놓이기도 한다. 부엌은 상하 두 칸을 통간으로 쓰되, 부엌 설비는 뒤칸에만 설치되고, 앞칸은 실내작업을 위한 봉당공간으로 쓰인다.

봉당은 함경도에서부터 안동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된 집들에서 볼 수 있는 가내 작업 공간이다. 마루는 부엌쪽이 개방되었고 바닥은 우물마루이다. 도장은 온돌이 시설되어 보통 때에는 수장공간으로 이용되지만 식구가 많으면 신혼부부 또는 딸의 방으로 이용된다. 마치 3칸집의 윗방과 비슷한 기능을 가진다.

이런 유의 집 가운데 농가인 경우는 주5을 몸채에 덧붙여 다는데 부엌(정지) 앞으로 처마를 내달아서 만든다(오히려 이러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지붕모양은 주6과 비슷하여 처마를 계속 이어 내리며 따로 지붕마루는 없다.

② 안동형 : 이 집도 역시 정면 3칸, 측면 2칸의 6칸집이기는 하나 영동지방의 양통 6칸집과는 평면구성이 전혀 다르다. 가운데의 상하 2칸에는 봉당과 마루가 깔리고, 양측의 끝방이 넷으로 나누어져서 앞에는 마구간과 부엌이, 뒤에는 주10안방이 놓인다. 마구간 상부에는 다락이 시설된다.

만일 마구간이 주9로 나가면 마구간 자리에 상방이 오고 뒤칸은 고방으로 된다. 영동형과 이 집이 다른 점은 앞의 경우 살림방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지만 뒤의 경우는 양쪽으로 나누어져 있고 앞의 경우 부엌(정지)이 상하 2칸인 반면 이 경우는 앞쪽으로 한쪽 모퉁이의 한 칸을 쓰고 있다.

또한, 집안에 외양간을 설치할 경우 앞의 경우 부엌쪽에 붙여 ㄱ자로 덧달아내고 있지만 여기서는 건물 내부에 한 칸을 차지하여 시설하고 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볼 때 안동형이 영동형보다 고식이라 믿어지는데 이런 근거를 더욱 뒷받침하는 것은 이런 형의 집이 함경도에 분포하는 집들이나 태백산맥의 산간지대에서 볼 수 있는 사방집과 유사한 맥락을 가지고 있다는 데서 비롯된다.

안동에서는 사랑채가 따로 없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사랑채를 두는 경우가 많다. 배치방식은 다른 지방의 경우 二자나 ㄱ자 모양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여기서는 나란히 배치될 뿐만 아니라 가장 전형적이고 고전적인 경우 뒤안(뒤뜰)을 안으로 하는 ㄱ자 모양의 사랑채가 안채와 나란히 놓여진다는 점이다.

이 배치를 보면 뒤뜰의 공간을 건물의 가장 중요한 내부공간으로 보았던 것 같다. 이러한 공간개념은 영동지방 · 안동지역, 그리고 제주지방에서도 볼 수 있는 고전적 방식이다. 대신 앞마당은 외부로 개방되는데 이것은 영동문화권의 일반적인 현상과 일치한다. 사랑채의 가장 일반적인 평면형태는 다음과 같다. ㄱ자집인 경우 안채 가까이에 마구간을 두고 다음에 대문간을 둔다.

모퉁이에 사랑방을 상하로 두며, 이곳에서 집이 안으로 꺾어져서 고방 · 뒤주 · 방앗간의 순으로 배열된다. 물론, 마구간과 안방과의 사이는 담장으로 막아서 뒤안공간에 타인이 들어가는 것을 막았다. 대신 뒤주와 고방 · 방앗간은 안채의 부엌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도록 고려되었고, 사랑방만 바깥쪽으로 문들이 나 있어서 앞마당으로 바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되었다.

(2) 8칸양통집

6칸양통집이 규모가 큰 8칸집이 되었을 경우 살림방을 증가시켜서 부엌이 한쪽으로 가는 수가 있다. 이때의 간살이는 6칸집에서 흔히 마련되는 마루가 살림방이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설되지 않기도 한다. 동쪽에 정지를 놓고 다음은 앞쪽으로 안방 · 상방 · 윗사랑과 뒤쪽으로 뒷방 · 도장 · 뒷사랑의 순으로 배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엌 옆에는 ㄱ자모양으로 따로 곁채가 배치된다. 이것은 딴 건물로 마련되지만 최근에는 건물에 덧붙여서 ㄱ자모양을 이루기도 한다. 이 곁채에는 보통 곳간과 마구간이 놓이며 근래에는 마구간이 부엌과 멀리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집의 규모가 커질 때 살림방을 증가시키지 않고 경영시설을 덧붙이는 집도 있다.

이때는 부엌의 바깥쪽에 외양간 또는 고방을 놓는다. 그러나 최근에는 외양간이 딴채로 나가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 대신 안살림과는 약간 거리가 먼 아랫방을 두기 때문에 자연히 부엌의 가운데에 배치되기도 한다.

(3) 정주간이 있는 집

정주간이 있는 양통집은 낭림산맥 북쪽 함경북도 지방에 분포한다. 집의 중앙 이곳 앞에는 서로 개방되어 있는 바당이 놓이며 뒤쪽에는 부엌이 마련된다. 이곳의 서쪽은 부뚜막이 되어 솥이 걸리고 안쪽으로 이른바 정주간이 만들어진다. 정주간 앞쪽에는 작은 방이 마련되기도 하는데 요즈음(20세기 중반)은 두지 않는 경향이 많다.

정주간의 서쪽에는 뒤로 안방과 고방이 차례로 놓이며 그 앞으로는 주12과 윗방이 배치되고 이 방들 앞으로는 전면이 개방된 툇마루가 시설된다. 부엌의 동쪽에는 방앗간이 만들어지고 그 앞에는 외양간이 배치되며 외양간과 바당 사이에는 구유를 놓아 경계지어진다. 이런 집들은 앞뒤로 각각 뜰이 있으며 대개 부속사 없이 구성된다.

윗방과 샛방에는 쌍미닫이인 이중문을 달고 고방에는 굴뚝쪽에 광창을 시설하였는데 근래에 와서는 큰 출입문을 달기도 한다. 방앗간의 광창은 보통 동쪽에 낸다. 이 집의 생활은 보통 정주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곳에서 식사와 잠자리, 가족의 모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남자어른들은 거처하지 않으며 여자들이나 어린이들이 쓰는 방이라는 점이 다르다.

정주간과 부엌 사이에 솥이 걸리고 정주간 뒷벽에는 ‘조왕간’이라고 불리는 주11이 시설된다. 정주간은 아궁이에 불을 지필 때 더워지는 실내공기를 그대로 이용하는 주거공간이다. 따라서, 부엌과 정주간은 외부와 완전히 밀폐되어 있고 집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정주간이 있는 집은 부엌과 정주간을 중심으로 하여 그 좌우에 방과 경영시설이 분리되어 있다.

이것은 방의 벽이 가능한 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고려한 것인 듯하다. 여기서 한 걸음 나아가서 생각한다면 양통집은 방을 두 줄로 배치함으로써 적어도 그 칸막이 벽이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샛방은 다른 지방의 사랑방에 해당된다. 윗방은 아들부부나 장성한 자식들이 기거하며 젊은 부부가 이 방을 쓰게 되면 신혼 살림살이를 들여놓고 방을 아기자기하게 꾸며쓴다. 샛방과 안방 사이에는 가끔 주13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윗방과 고방 사이에는 사당방(또는 사랑방이라고도 한다)이 있는데 이곳에 신주를 모셔놓는다. 바당은 그 기능에 있어서 봉당과 거의 같다. 이 집의 특징은 방앗간이 집 몸채 안에 시설된다는 점이다. 함경도에 분포하는 이런 집에는 중농 이상의 자영농들이 많이 살고 있다.

(4) 부속건물이 있는 집

양통집은 경영 시설물을 딴채로 부설하지 않는 것이 통례인데 이번에는 딴채를 가진 경우를 살펴보자. 이 집은 본채와 사랑채가 二자형을 이루는데, 그 가운데에 주14을 세로로 덧달아 냄으로써 집 전체의 모양은 工자형이 된다. 이런 집에 부설되는 사랑채는 외통집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평면의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채(몸채)는 앞에서 설명한 정주간이 있는 양통집(8칸)과 유사하다. 집의 가운데에 부엌과 바당공간이 설치되고 여기에서 부뚜막과 연결되어 정주간이 마련된다. 정주간 서쪽 옆에는 앞으로 샛방과 뒤로 안방을, 머리칸에는 앞으로부터 윗방 · 어간방 · 고방 순으로 배치된다.

그런데 어간방은 따로 마련되지 않고 윗방과 고방만으로 된 집도 더러 있다. 부엌과 바당의 아래쪽에는 뒤로 방앗간과 앞으로 외양간이 배치되며 외양간과 바당 사이에는 구유통이 놓인다. 사랑채에는 부엌 맞은편에 대문이 시설되고 그 동쪽에는 ‘석마간’이 배치된다.

서쪽으로는 수레간이 안마당 쪽으로 개방되어 배열되며 차례로 마당공간과 정주간이 놓이고, 그 머리 쪽으로 사랑방 2칸이 배열된다. 안대문은 몸채의 정주간과 사랑채 정주간을 연결하여 주거 공간과 영농 공간을 구분하고 있다. 안대문간의 양면에는 창고가 시설된다.

함경북도지방에는 원래 정주간과 샛방 사이에서 시작하며 몸채를 둘러싼 앞담장까지를 안대문이 달린 담장으로 잇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은 주거 공간과 영농 공간을 구분하는 구실을 하기도 하였고 내외풍습에 따라서 아녀자의 공간과 남성의 활동공간을 경계짓는 구실도 하였다.

사랑채는 앞서 살펴본 것처럼 외통집인 것이 통례이지만, 몸채와 수직으로 앉아서 ㄱ자집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대문이 사랑채 안에 시설되지 않을 때에는 지붕이 있는 별개의 건물로 시설된다. 이런 집은 함경도의 평야지대에서 부농의 집으로 이용된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관』 2(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0)
주석
주1

작은 규모로 짓는 농사. 또는 그런 농가나 농민. 우리말샘

주2

겹집에서, 용마루 양쪽에 환기구로 뚫어 놓은 구멍. 우리말샘

주3

사각뿔이나 육각뿔처럼 용마루가 없이 하나의 꼭짓점에서 만나는 지붕. 우리말샘

주4

안방과 건넌방 사이의 마루를 놓을 자리에 마루를 놓지 아니하고 흙바닥 그대로 둔 곳. 우리말샘

주5

말을 가두어 기르는 곳. 우리말샘

주6

벽이나 물림간에 기대어 만든 지붕. 우리말샘

주7

‘광’의 원말. 우리말샘

주8

지붕이 네모난 집. 우리말샘

주9

본채와 별도로 지은 집. 우리말샘

주10

한 집에서 주인이 거처하는 방. 우리말샘

주11

물건을 얹어 놓기 위하여 방이나 마루 벽에 두 개의 긴 나무를 가로질러 선반처럼 만든 것. 우리말샘

주12

방과 방 사이에 있는 작은 방. 우리말샘

주13

정문 외에 따로 드나들도록 만든 작은 문. 우리말샘

주14

바깥채와 안채 사이에 있는 대문. 우리말샘

집필자
김홍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