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채집이라고도 한다. 안채는 ㄱ자형과 마찬가지로 3칸전툇집으로, 사랑채는 맞걸이 3칸으로 이루어진다.
남부지방에 있어 안채의 간잡이는 부엌+안방+윗방의 차례로 배치되는데, 안방과 윗방 앞의 회마루는 툇마루로 마감되기도 한다. 사랑채의 평면은 역시 긴 네모꼴로 긴 변 쪽을 전면(마당 쪽)으로 삼는다.
동쪽으로부터 사랑방+헛간(또는 헛청)+외양간으로 배열되었으며 사랑방 앞에는 가마솥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집은 차령산맥 이남에 상당수 분포하는데 ㄱ자형보다는 그 수가 적다. 북쪽의 것과 비교하면 마당이 널찍하고 개방적이며 바깥마당을 가지지 않는 게 특징이다.
관서지방에서는 안채와 앞채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고 양옆에 담장을 축조해서 긴 네모꼴의 안뜰을 만들며 앞채 밖에는 바깥마당(앞뜰)이 설정된다.
안채는 안방과 윗방이 긴 통간으로 되어 있고 마루방이 딸린 4칸집이 많으나 더러 3칸집도 있다. 4칸집의 토방은 안방과 머릿방 사이를 샛벽으로 막아서 공간을 상호 구분하는 것이 특징이다.
앞채(아래채)는 가운데가 대문이고 그 좌우에 외양간과 헛청이 구성되는데 대문간에는 큰쪽 대문이 있고 헛간에는 안뜰 쪽으로 출입문이 나 있다. 외양간은 안뜰과 대문간 쪽이 벽체가 없이 개방되며, 대문간 옆으로 가끔 사랑방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자집에서 안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통로는 대문이며 사랑방의 출입문은 앞뜰과 대문간 양쪽으로 난다. 집의 모양은 대동강 이북에는 뱃집이 많으나 그 이남에는 우진각집이 많다.
이자집에 있어서 경제적 여건이 보다 나아지면 몸채에는 머릿방(맏윗간)을 윗방 다음에 부설하고 앞채에도 대문간 다음에 사랑방을 들인다. 이렇게 하면 앞채와 안채의 칸수가 같아지게 되어 담장을 좌우에 나란히 둘러 칠 수가 있다. 부설된 머릿방은 함실부엌으로 하고 사랑방 부엌은 대문간의 한쪽 구석에 시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