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집 (집)

목차
관련 정보
순천 낙안읍성 주막집
순천 낙안읍성 주막집
주생활
개념
평면의 간살이 ‘田’자 모양을 이루는 건축물.
목차
정의
평면의 간살이 ‘田’자 모양을 이루는 건축물.
내용

구조 방식은 겹집의 유형과 흡사하여 공간 구성·이용·분포 등이 비슷함을 알 수 있다. 분포 지역은 남부 해안지대를 중심으로 가끔 볼 수 있으며, 내륙이나 제주도 등지에도 극히 드물게 볼 수 있다.

평면의 모양은 거의 바른 네모꼴로서 사방집·똬리집·뜰집과 함께 우리 나라 집에 있어서의 특이한 형태이다. 간살은 앞쪽으로 대청과 건넌방(남부 지역에서는 아랫방이라 부름.)을 배열하고 뒤쪽으로 마루 뒤에 안방과 그 옆에 부엌을 놓는다.

이와 같은 배치는 부엌에서 각 구들에 직접 불을 땔 수가 있으며, 또한 각 방에서도 마루로 직접 나올 수 있게 계획되었다. 그러나 부엌에서는 마루로 직접 나가지 못하고 집을 돌아가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런 집들은 보통 퇴 없이 이용되나 남부 해안지대에서는 부엌+안방 앞쪽과 부엌+건넌방 앞쪽에 퇴를 덧달기도 한다.

처마 밑을 이용하여 부엌과 안방 뒤에 수장 공간을 시설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시설물들은 그 지방의 일반적 구조 기법과 연관을 가지며, 집을 생활상의 필요에 따라 고쳐 쓰는 방식이므로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집의 구조는 삼평주삼량(三平柱三樑)집으로 양통집과 같은 방식이다.

벽체는 뼈대를 주축으로 하여 흙담을 평벽 처리하고 기둥머리맞춤은 상투맞춤으로 하는 등 고식(古式)인 경우가 많다. 집의 구성은 보통 외채로 처리되지만 남부지방의 특성처럼 쌍채인 경우도 있으며, 이때는 안채보다는 사랑채로 이용되는 수가 많다. 이용하는 계층은 소농으로서 가난한 사람들이 산다.

또한, 구조가 비교적 간편하므로 건물 면적에 비하여 경제적이어서 좋으나 집의 전체 규모가 작고 부엌에서 대청으로의 출입이 나쁘며, 장차 증축 가능성이 없어서 불편한 점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집의 기능은 가게로 쓰인다든지 하는 특이한 경우가 많으며, 임시 가건물로 지었다가 그냥 눌러 사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관(韓國民俗大觀)』2(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홍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