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불산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유물
신라 경덕왕이 당나라 대종(代宗)에게 선물했던 가산(假山)으로 된 불교 공예품.
목차
정의
신라 경덕왕이 당나라 대종(代宗)에게 선물했던 가산(假山)으로 된 불교 공예품.
내용

만불산(萬佛山)은 신라 경덕왕주1의 황제 대종이 불교를 숭상한다는 말을 듣고 공장(工匠)에게 명하여 만든 불교 공예품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 「탑상(塔像)」편의 ‘사불산 · 굴불산 · 만불산(四佛山掘佛山萬佛山)’조 기록에 의하면 이 공예품은 오색의 주2를 만들고 주3을 조각하여 명주와 아름다운 옥 등으로 꾸민 높이 1장 정도의 주4이라고 한다.

이 만불산은 우뚝 솟은 바위와 괴이한 돌과 계곡 · 동굴 등이 있어서 구역이 나누어져 있었는데, 각 구역마다 춤추고 노래하는 사람들의 모습과 온갖 산천의 형상을 만들어 놓았다. 문틈으로 바람이 불면 벌과 나비가 훨훨 날아다니고 제비와 참새가 춤을 추었으니, 얼핏 보면 살아있는 현실 세계와 같았다고 한다. 그 안에 만 개의 불상을 봉안하였는데, 큰 것은 기장이나 콩 반쪽만 하였다. 이 불상들은 머리털과 눈썹, 눈 등이 또렷하니 모두 다 갖추어져 있었다. 여기에 금과 옥으로 된 주5주6와 같은 주7이 있었고 누각과 대전(臺殿) 등도 갖추고 있었다. 또한, 만불산의 앞쪽에는 천여 개의 승려상이 있는데, 그 아래로 자금종(紫金鍾) 셋을 벌려 놓았다. 모두 주9을 갖추고 있었으며 주8와 같은 장식이 새겨져 있었다. 바람이 불어 종이 울리면 주위를 돌고 있는 승려상들이 모두 엎드려 머리를 땅에 대고 절을 했으며 또한 은은하게 염불을 하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고 하였다.

경덕왕은 만불산을 대종에게 증정하였는데, 이것을 받은 당의 황제는 “신라의 교묘한 기술은 하늘이 만든 것이지 사람의 기술이 아니다”라며 감탄하였다고 한다. 이어 대종은 구광선(九光扇)을 만불산 바위 사이에 두고 이름을 불광(佛光)이라고 했으며, 승도들에게 명해 대궐 안의 불사(佛事)에서 만불산에게 예배하게 했으니 보는 사람들이 모두 그 정교한 솜씨에 탄복했다고 한다. 만불산은 불교적 이상세계를 표현한 일종의 가산으로 신라인의 축적된 공예 기술의 극치를 반영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유사 권3 사불산 굴불산 만불산 조의 연구」(김복순,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2016)
「삼국유사 만불산과 신라공예」(장충식, 『문화사학』6, 1997)
주석
주1

618년에 중국의 이연(李淵)이 수나라 공제(恭帝)의 왕위를 물려받아 세운 통일 왕조. 도읍은 장안(長安)이며,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문화가 크게 융성하였으나, 안사(安史)의 난 이후 쇠퇴하여 907년에 주전충(朱全忠)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2

융단

주3

인도가 원산지인 향나무. 불교용품을 만드는 데 많이 쓴다. 우리말샘

주4

정원 따위에 돌을 모아 쌓아서 조그마하게 만든 산. 우리말샘

주5

깃발과 보주 등으로 장식된 덮개

주6

꽃과 열매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좋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꾸미고, 훌륭한 공덕을 쌓아 몸을 장식하고, 향이나 꽃 따위를 부처에게 올려 장식하는 일. 우리말샘

주8

종에 새기는 바다의 동물

주9

큰 종을 달아 두기 위하여 지은 누각.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