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명굿

목차
관련 정보
부군당굿 / 말명굿
부군당굿 / 말명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서울 · 중부지방의 굿에서 말명신을 모시는굿거리.
목차
정의
서울 · 중부지방의 굿에서 말명신을 모시는굿거리.
개설

말명굿은 독립된 거리로 행하기도 하고 불사거리나 본향가망거리의 부속거리로 행하기도 한다. 말명굿은 그 말뜻이 확실하지 않으나, 무속굿의 한 제차로서 사령굿을 하는 데에 긴요한 굿거리이다. 무조신의 성격을 띠면서도 죽은 이의 넋을 달래는 데에 말명굿의 제차가 필요한 때문이다.

내용

말명신의 신앙 형태에 대해서 『성호사설(星湖僿說)』에 무당들이 말명신을 믿고 민가에 병이 있으면 이 신에 기도를 드렸다고 했다.

말명을 한자로는 만명(萬明)이라고 표기하는데, 이에 얽힌 전설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보인다. 만명은 김유신(金庾信) 장군의 어머니 이름으로 김유신 장군을 모신 사당에서 어머니도 함께 모시던 신앙에서 유래된 것이라 하였다.

이러한 기록과는 다르게 무속신앙에서는 무조신으로 섬겨진다. 무당들이 신체(神體)로 가지고 다니거나 굿당이나 신당에 걸어두는 명도(明圖)가 말명의 얼굴이라고 믿는 것도 무조신의 성격을 말해주는 증거이다. 무속에서 특히 ‘대신말명’을 무조신이라고 한다.

일반 민가에서도 죽은 이의 옷을 고리짝 안에 담아서 집 방안의 윗부분에 설치하여 두는 것을 말명이라고 한다. 굿을 할 때에 무당이 이 옷을 꺼내서 들거나 입고 춤을 추는 경우가 있으므로 말명은 조상신이면서도 사령굿을 할 때에 개인을 위하는 몸주신의 구실도 한다고 볼 수 있다.

말명거리의 순서를 보면 무당 자신이 모시는 말명, 서울지역 굿당에 매인 말명, 그리고 굿을 하는 집안의 말명이 청배되어 모셔진다. 말명은 사령굿에서 구송되는 바리공주 무가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바리공주 무가의 구송을 “말미 드린다.”라고 하기에 말명과 말미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무속연구』(김태곤, 집문당, 1982)
『朝鮮巫俗の硏究』下(赤松智城·秋葉隆, 屋號書店, 193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길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