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례 ()

목차
불교
인물
삼국시대 신라 최초의 불교신자.
이칭
이칭
모록(毛祿)
인물/전통 인물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 최초의 불교신자.
내용

모록(毛祿)이라고도 한다.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에 해당하는 일선군(一善郡)에 살았다. 눌지왕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불교를 전파하기 위해서 신라로 왔으나, 당시 신라가 외래종교에 대한 탄압이 심하여 전파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집안에 굴을 파서 3년 동안 묵호자를 숨겨주었다.

소지왕 때에도 승려 아도(阿道)가 시자(侍者) 3인을 데리고 신라로 왔을 때 자기의 집에 머무르게 하고 불교신도가 되었다. 그때 모례의 누이 사씨도 아도에게서 가르침을 받고 승려가 되었으며, 뒤에 영흥사(永興寺)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모례의 이름이 모록으로 기록된 것은 녹(祿)과 예(禮)의 글자 모양이 비슷한 데서 생긴 와전으로 추정된다. 또 도리사사적비(桃李寺事蹟碑)에는, 아도가 모례에게 시주를 받아 신라 최초의 사찰인 도리사를 창건하였다고 하였다. 현재 도리사 주변에는 모례장자터와 모례장자샘이 남아 있다. 또한 우리 나라에서 사찰을 절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모례의 ‘털 모(毛)’를 ‘털례’라고 불렀다가 ‘례’를 빼고 털로, 다시 절로 바뀐 것이라는 설이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도리사사적비(桃李寺事蹟碑)」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