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여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 진영 중 제3세 청진국사 몽여 진영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 진영 중 제3세 청진국사 몽여 진영
불교
인물
고려후기 조계산 수선사 제3세 국사 승려.
이칭
시호
청진국사(淸眞國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52년(고종 39)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조계산 수선사 제3세 국사 승려.
내용

수선사(修禪社) 16국사(國師) 중 제3세 국사이다. 자세한 기록은 없지만 몇 군데 언급된 부분적 기록을 통하여 그의 행적을 살펴 보면, 수선사 제3세로 활약한 시기는 스승 혜심(慧諶)이 입적한 1234년(고종 21)부터 그가 입적하기까지의 18년간으로 추정된다.

이때의 고려 불교는 거란과 몽고의 침략으로 기복불교(祈福佛敎)가 크게 성행하였던 시기로서, 궁중에서는 거의 매월 복을 비는 여러가지 도량(道場)이 열렸고, 황룡사구층탑이 몽고에 의하여 불타는 등 침체일로에 있었다. 이처럼 어려운 시기에 수선사를 맡아 지눌(知訥)에 의해서 선양된 선풍(禪風)을 크게 진작시켰다.

또한, 스승 혜심의 비를 세우고, 혜심의 『선문염송(禪門拈頌)』을 열람한 뒤 거기에 347칙(則)을 첨가하여 보완하는 등, 참신한 선풍을 잇게 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그리고 당대의 법왕으로 추앙받으면서 혼원(混元)·천영(天英) 등의 제자를 배출하였다. 1252년 수선사 사주직(社主職)을 제4세 혼원에게 물려주고 입적하였다.

당대의 문호인 이규보(李奎報)와 자주 교유하였다. 언제인가 시자(侍者) 두 사람을 이규보에게 보내어 정이안(丁而安)의 흑죽(黑竹) 그림을 구하매 이규보가 흑죽 2간(幹) 그림을 보내면서 찬한 글이 『동문선』 권51에 전하고 있다. 이규보가 몽여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몽여가 선사와 대선사의 승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호는 청진국사(淸眞國師)이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高麗曹溪山松廣寺十六國師に就いて」(管野銀八, 『청구학보(靑丘學報)』9, 1932)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