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군선 ()

목차
과학기술
제도
조선 초기 수군(水軍)을 배정하지 않고 비상시에 대비하여 예비적으로 둔 군선.
목차
정의
조선 초기 수군(水軍)을 배정하지 않고 비상시에 대비하여 예비적으로 둔 군선.
내용

고려 말기부터 창궐한 왜구를 토벌, 진압하기 위하여 조선 초기부터 군선을 증강하여 왜구를 무찌르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런데 그동안 증강된 군선의 종류는 『세종실록』 지리지에 대선(大船)·중대선(中大船)·중선(中船)·병선(兵船)·쾌선(快船)·맹선(猛船)·중맹선(中猛船)·별선(別船)·무군선·선(船)·추왜별맹선(追倭別猛船)·왜별선(倭別船)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중 무군선은 경기의 각 포에 47척, 충청도에 10척 등 57척이 있는데, 그것은 1420년(세종 1) 여름 삼도도체찰사(三道都體察使) 이종무(李從茂)가 대마도를 원정한 뒤 불의의 사태에 대비하여 공선(空船)을 둔 데서부터 유래되었다.

이때의 무군선은 임시로 둔 데 지나지 않았으나, 세조 때 맹선을 제도화하면서 무군선을 대량으로 두었다. 『경국대전』 제도병선조(諸道兵船條)에 나타나 있는 737척의 대맹선·중맹선·소맹선 중 그 3분의 1에 해당하는 249척이 무군선이다.

그 무군선의 대부분은 무군소맹선(無軍小猛船)이고 무군대맹선은 1척, 무군중맹선은 3척뿐이다. 세조 때 모든 군선을 맹선으로 규격화하며 그렇게 많은 선척(船隻)을 예비선인 무군선으로 만든 것은 왜구도 완전히 진압된 뒤로 무리하게 늘어난 수군의 군비를 축소하고 군선의 평화적 이용을 도모한 조처였다.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왕조군선연구(朝鮮王朝軍船硏究)』(김재근, 일조각, 1977)
집필자
김재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