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릉춘색도 ()

목차
관련 정보
무릉춘색도(김수철 작)
무릉춘색도(김수철 작)
회화
작품
조선 말기의 화가 김수철(金秀哲)이 그린 산수화.
목차
정의
조선 말기의 화가 김수철(金秀哲)이 그린 산수화.
내용

1862년(철종 13)작. 족자. 종이 바탕에 담채. 세로 150.5㎝, 가로 45.6㎝. 간송미술관 소장. 이색적인 화풍을 구사하였던 조선 말기의 화가 김수철의 대표적인 산수화이다.

화면 상부에 보면, “임술년 음력 8월, 보산학사를 위하여 북산(김수철)의 그림 한 폭에 제합니다. 자리에 두고 보십시오. 송료음생(壬戌中秋 題北山寫意一幅 爲寶山學士 淸座 松寮唫生)”이라는 묵서가 있다. 그래서 송료음생이라 자칭한 인물이 보산학사를 위하여 김수철의 그림에 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1862년경에 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묵서 끝에 ‘彝中(이중)’의 주문방인(朱文方印)이 1과(顆) 날인되었다. 그러나 화제를 쓴 인물에 대해서는 아직 미상이다.

화제 시를 보면, “복숭아나무 심은 곳마다 무릉도원의 봄인데, 어찌 반드시 구름 속으로 가 나루터를 묻는가. 그때 도원 속의 나그네를 서로 보니, 본분이 응당 농사에 힘쓰는 사람이로세(種桃隨處武陵春 那必雲中去問津 相見當年源裏客 多應本分力田人).”라고 하였다.

무릉도원(武陵桃源)은 중국의 시인 도연명(陶淵明, 365∼427년)의 『도화원기(桃花源記)』에 나오는 이상향이다. 이 시에서는 무릉도원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복숭아나무 심은 곳은 어디나 낙원이라는 뜻을 읊고 있다. 화면 오른쪽 하부에 ‘北山(북산)’의 묵서와 ‘金秀哲印(김수철인)’의 백문방인(白文方印), ‘北山’의 주문방인이 각각 1과(顆)씩 날인되어 있다.

이 작품은 초옥에 앉아 자연을 관조하는 인물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독필(禿筆 : 끝이 거의 닳은 붓)을 써서 인물과 주변 산수를 요점적으로 생략하여 표현하고 있다. 푸른색의 담채(淡彩 : 엷은 채색)와 담묵(淡墨 : 진하지 않은 먹물)이 주조를 이루며 청신하고 세련된 감각을 전해 주고 있다. 그래서 조선 말기 화단에 보이는 근대적인 미의식을 대변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동양(東洋)의 명화(名畵)』 -한국(韓國) 2-(삼성출판사, 1985)
『간송문화(澗松文華)』23(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82)
『한국회화사(韓國繪畵史)』(안휘준, 일지사, 1980)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